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말더듬 육각형

stuttering hexagon

stuttering hexagon 말더듬 육각형: 말더듬인의 만성적인 말더듬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 John C. Harrison이 개발한 모델이다. Harrison은 말더듬이 사람의 생리적인 반응, 행동, 감정, 인식, 믿음, 의지로 구성된 결합체계의 산물이라고 제안하였다. 이 결합체계는 총 6가지로 구성되어, 이를 점으로 그어 육각형을 만들 수 있다. 각 점은 다른 모든 점과 서로 연결된다. 이 점들 간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이러한 결합체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어떤 한 점만 변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말더듬 치료가 힘들고, 치료 후에서 재발이 빈번하고 주장하였다. 이를 해결하려면 말의 유창성 자체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말더듬을 유발하는 육각형의 결합체계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더듬을 사라지게 하려면 그 말더듬을 유발하는 육각형의 모든 점들을 모두 동시에 바꾸어 연관되지 않은 하나의 점들로 모두 분해해 버려야 한다. 이 말더듬의 육각형을 받치고 있는 우리들의 행동, 감정, 인식, 믿음, 의지, 생리적 현상을 바꾸어야 한다. 말더듬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전체적이고 광범위한 전략을 세울 때 우리는 지속될 수 있는 유창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말더듬에 대해 다른 인식을 가지는데 많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