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음성합성장치, 음성합성기

speech synthesis equipment

speech synthesis equipment 음성합성장치, 음성합성기: 주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지정된 정보를 음성파형으로 만들어내는 장치. 음성의 생성을 음원의 생성과 조음작용(입의 모양을 바꿈으로써 음원에 음운의 특징을 부여하는 작용)으로 나눈다. 음성을 합성하는 데에는 인간의 목소리를 분석하여 정보요소를 추출하고, 이것에서 반대로 음성파형을 재현하는 분석합성법과 문자정보만으로 인간의 음성을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음성파형을 만들어내는 규칙합성법이 있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것은 전자이지만 앞으로는 후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후자가 실현된다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독기나 말을 못하는 사람을 위한 의사표현수단, 그리고 발음 기능이 첨부된 전자사전 등이 가능해진다. 현재 음성합성의 주류로 되어 있는 것은 PARCOR(파코르)방식이다. 그 원리는 PARCOR계수 k가 합성필터의 특성을 결정하며, 이것들을 19~20ms에 1회씩 새로 부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음성이 합성된다. 이 방식에 의하면 1초 동안의 음성파형을 합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의 양은 2.4 킬로비트 이하가 된다. 이것은 원음성파형을 그대로 디지털화해서 기억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량의 1/20~1/30이다. 최근의 음성합성장치는 장치가 고밀도 직접회로화하여 소형, 소전력이 되고, 마이크로컴퓨터와 조합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전제품이나 교육기기, 게임기구나 완구에까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과속이나 가솔린의 결핍 등을 음성으로 경고하거나, 전자 레지스터의 입력을 복창하는 것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