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구어장애, 말장애

speech disorder

speech disorder 구어장애, 말장애: 구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생긴 장애. 말을 산출하고 이해하는데 사용되는 신체적인 말초신경과 이들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는 근육의 결함으로 인한 장애. 호흡기관(폐, 기관, 기관지 등), 발성기관(후두 및 성대) 그리고 조음기관(입술, 구강의 각 조직, 비강, 입천장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장애. 구어장애를 그 증상별로 살펴보면 음성장애, 조음장애, 유창성장애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구어라는 것은 speech와 language를 포함하여 말한다. 그러나 이는 너무나 광범하고 포괄적인 용어이기 때문에, 언어치료 분야에서는 speech를 구어 혹은 말이라 하고, language를 언어라 하여 구분하는데, 우리말에서 언어라는 (speech + language = 언어)와 (language = 언어)를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후자를 기호(symbol)라고 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언어라는 것은 약속된 기호를 다루는 기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각 장애가 있을 때 speech disorder를 구어장애 또는 말장애라고 하고 있다. 장애라는 한자어 앞에 붙이는 용어를 일치시키는 것이 언어표현상 편하다는 점에서 구어장애라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language에 장애가 있을 때를 기호장애(symbolic disorder) 혹은 언어발달장애라 하여 큰 의미의 언어와 혼동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구어장애의 경우 치료의 대상은 조음, 음성, 유창성 등이고, 기호장애 치료의 대상은 어휘, 문법, 의미, 화용 등이 된다. 각 장애는 크게 기질적/기능적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기질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그 문제가 심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경우 언어치료사에 의한 치료를 실시한다. 행동적 중재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 외과적인 수술이나 약물치료를 포함한 의학적인 처지를 실시한다. 이후 언어치료사는 대상자가 해결된 기질적 문제가 올바르게 기능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적인 문제는 해부생리학적 문제가 없으므로, 언어치료사가 해당 기관이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둔다. 대상자의 장애에 관하여 치료할 때, 대상자 및 대상자의 주변인이 광고 및 개인 블로그 등에서 얻은 정보를 언어치료사에게 질문하는 경우가 잦다. 이 때 치료는 근거기반(evidence-based)하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부분에 관해서도 적절히 상담하여 잘못된 방향이 아닌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언어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 개인이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면서 의사소통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없도록, 혹은 그 문제를 되도록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언어치료사는 전인적인 가치 하에 대상자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전문가적인 지식 및 태도와 더불어 적절한 상담 기술을 가져야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