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discrimination test 구어 변별 검사: 1. 피검자의 청력 역치 상위 수준에서 구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어청력 측정 검사. 일반적으로 10개 단어로 구성된 단어 리스트를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그 단어들은 음성학적으로 균형이 맞추어져 있다. 어음수용역치 보다 ±30dB 위에서 한 개의 리스트를 제시한다. 정확하게 따라한 반응을 백분율로 채점한다. 그 다음의 리스트는 앞에 실시한 리스트 보다 10dB씩 높은 수준에서 제시되어진다. 변별점수의 곡선은 그래프로 제시된다. 2. 청각장애를 가진 피검자의 구어 식별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검사자는 피검자가 이미 이해하고 있는 단어 50개를 제시한다. 이때 피검자는 들은 단어가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앞에 놓인 단어카드나 그림카드를 지적한다. 순음검사와 달리 구어식별검사가 가지는 의의는 실제 의사소통상황에서 사용되어지는 구어(단어)에 대한 청취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실제적으로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