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apraxia 구어 실행증: 대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운동프로그래밍 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 근육의 마비나 약화현상 없이 일련의 조음기관의 위치를 잡는 운동을 프로그래밍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조음에서 왜곡, 생략, 첨가, 반복보다 대치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모음보다 자음에, 고빈도 음소보다 저빈도 음소에, 단음절 단어보다 다음절 단어에 오류가 더 나타난다. 조음정확도는 실제 단어가 비단어보다 더 낫다. 조음 오류는 마비말장애 구어에 비해 비일관적이고, 같은 단어의 반복된 발화에도 다양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