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감각성 실어증

sensory aphasia

sensory aphasia 감각성 실어증: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장애가 주된 증후인 실어증. 남의 언어를 들을 수는 있지만,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우리말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외국어를 들었을 때와 같은 상태이다. 감각성 실어증은 피질하감각성 실어증, 피질감각성 실어증, 초피질감각성 실어증의 3종류로 분류된다. 말하려는 의도는 있지만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운동성 실어증과는 달리 자발적 발어는 가능하지만, 그 언어에 틀린 점이 많다(착어증이라고 함). 감각성 언어중추를 베르니케 중추라고 하며, 이 중추가 손상되면 피질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키고, 이 중추와 청각중추와의 연락로가 손상되면 피질하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킨다. 또 이 중추와 개념중추와의 연락이 손상되면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킨다. 이 중에 피질하 감각성 실어증은 극히 드물다. Luria가 확인한 청각실인증적 실어증으로, 주된 장애는 구어음을 변별하는 데에 있으며, 이로 인해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음으로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어의 첫 음을 단서로 제시하는 방법은 이 실어증 환자에게 유용하지 못한다. aphasia 참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