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theory 심리역학 이론: 개인의 적응 문제뿐만 아니라 보통 정신 분석적인 사고와 관련된 보다 심한 장애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한 이론이다. 정신 분석학적 이론에서 심리역학적 이론은 원래 성격 및 심리 사회적 발달에 대한 Freud의 관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Freud는 아동 발달에 구순기와 항문기에 중요성을 두고 있기 때문에 어떤 정신 분석 학자들은 이러한 시기를 전후하여 말더듬이 일어난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Coriat(1927, 19931, 1943)는 말더듬을 구강기 고착 현상의 결과로서 보고 있다. 그러나 Glauber(1958)는 말더듬인은 충동(id)과 초자아(superego) 사이에 갈등을 겪는다고 생각하였다. Travis(1971)는 말하는 것에 관한 말더듬인들의 상반 감정 병존(ambivalence) 때문에 말더듬인들이 말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감정이라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Barbara(1954, 1965)는 생활 장면 속에서 부적당한 대인 관계와 적응이 말더듬인의 구어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