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 Discrimination and Attention Test 청각식별력 및 주의집중 검사: 3세에서 12세까지 언어장애 아동을 위해 Morgan-Barry가 고안함. 이 검사는 음들 사이의 차이를 식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아동에게 한 페이지에 두개의 그림이 그려진 검사를 제시한 다. 아동은 치료사가 이름을 말한 맞는 그림 밑에 계수기를 놓는다. 무작위 반응을 막 기 위해 각 쌍의 그림을 6회 제시한다. 오류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기 위한 기준표와 표준 점수를 제공한다. 이 검사는 650명의 아동을 상으로 표준화되었다. 매뉴얼에는 언어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적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정상 아동들의 결과를 비교하는 광 범위한 연구들을 보고하고 있다. 이 검사는 영국에서 개발되었다.
Auditory Discrimination Screening Test 청각식별력 선별 검사: Catherine Renfrew가 고안하였음. 이 검사는 구어 및 언어 장애 아동들에게서 종종 발견되는 음운론적 자질 조와 의미론적 혼동을 평가한다. 이 검사는 5세 이상 연령의 아동에게 사용될 수 있 지만, 이보다 더 어린 아동에게 사용하려면, 치료사는 그림의 밑에 있는 줄을 가려야 한다. 채점을 할 때 청각식별에서 범한 오류는 어휘로 인한 오류와 구별하여야 한다. 만약 5세 이상의 아동이 어떤 페이지에서든지 두개 이상의 식별 오류를 나타낸다면, 그 아동은 청각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Action Picture Test 참조.
Auditory Discrimination Test 청각 식별 검사: Wepmen이 3~5세용으로 개발하였다. 40 개의 쌍으로 된 단어에 “같다-다르다”로 반응하도록 요구한다.
auditory disorder 청각 장애: 소리자극을 수용 또는 해석함에 있어서 신체적 또는 심리 적으로 겪는 모든 어려움
auditory evoked potentials 청각 유발 전위: 와우각에서 뇌의 피질에 이르는 상행 청각 경로를 따라 나타나는 청각 자극에 한 미세한 신경전기적 반응.
auditory evoked response(AER) audiometry 청각 유발반응 청력측정: 전기생리적 청 력측정의 한 유형으로, 말초신경계나 중추신경계의 청각 부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리 에 의해 유발된 전기적 활동이 전극으로 기록된다. AERs에는 청각뇌간반응청력측정 (auditory brainstem response), 청각중간반응 청력측정(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 뇌간유발반응검사(brainstem evoked response), 심장유발반응 청력측정 (cardiac evoked response audiometry) 등이 포함된다. electrophysiologic audiometry 참조. audiometry 참조.
auditory fatigue 청각 피로: 일시적인 청각 역치의 변화. fatigue 참조.
auditory feedback 청각 피드백: 자신 또는 타인이 말한 말소리를 들음으로써 정확한 조음기관의 운동이 요구되고 현재 진행 중인 조음기관의 움직임이 변화됨을 관찰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auditory feedforward 청각적 피드포워드: 즉각적인 청각적 피드백을 통한 조음기관의 움직임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말소리의 왜곡이나 결함 전에 조음기관의 움직임을 예측하 고 실행하는 피드백 과정을 말한다. 오랫동안 청각적 피드포워드가 결여될 경우 말소리 를 통한 조음기관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