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 steady-state response(ASSR) 청성지속반응검사: 특정 순음의 진폭 혹은 주파수의 변화를 준 음에 의해 생성된 전위를 기록하는 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ABR)와 비교하여 주파수에 따른 청력역치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자극음을 사용하므로 높은 자극 수준을 얻을 수 있어 120dB HL까지 측정 가능하다. 자동적으로 역치가 측정되며, 70Hz 이상의 변조 주파수를 이용할 경우 수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영유아의 청력측정 및 보청기 처방에 사용되고, ABR보다는 반응의 강도가 크지 않아 주위 소음에 영향을 더 받게 된다.
auditory stimulation 청각 자극: 말을 배울 때 언어치료가 아닌 일상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치료사가 먼저 들려주고 따라하도록 한다. 모방하기까지의 시간을 조금씩 지연시키는 방법으로 훈련강도를 높인다.
auditory stimulus control 청각적 자극통제: 한 개인의 반응이 말의 청각적 요소만으로 통제를 받을 때, 비언어 소리보다 말의 청각 자극 통제의 뜻으로 사용.
auditory synthesis 청각 결합, 청각적 통합: 서로 분리해서 따로 제공된 음소들을 인지 적으로 통합하여 음절 또는 단어로 인지하게 된다. 읽기 및 철자를 처리하는 것과 접 한 관계가 있다. Syn: phonetic synthesis, sound blending, vocal phonetics.
auditory synthesis 청각 결합, 청각적 통합: 서로 분리해서 따로 제공된 음소들을 인지 적으로 통합하여 음절 또는 단어로 인지하게 된다. 읽기 및 철자를 처리하는 것과 접 한 관계가 있다. Syn: phonetic synthesis, sound blending, vocal phonetics.
auditory system 청각계, 청각 시스템: 듣는 기능을 담당하는 신체 부위로 크게 귀와 중 추청각 시스템을 의미한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음파는 귓바퀴에서 반사되어 외이도를 통과하여, 외이도 끝에 붙어 있는 고막을 두드린다. 중 이는 추골, 침골, 등골로 구성된 이소골을 통해 외이로부터의 음파를 내이의 난원창으 로 전달한다. 아울러 중이의 근육들은 내이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내이는 와우와 비 청각 구조들로 구성되어 있다. 와우는 림프액으로 찬 세 개의 부문으로 되어 있으며 두 부문을 나누는 기저막을 가로지르는 압력에 의해 일어나는 림프액에서의 파동을 유지시 킨다. 와우관에는 코르티기관이 자리 잡고 있는데 기계적 파동을 뉴런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와우에서는 주파수별로 소리가 분류되는데 와우의 유모세포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가면서 고주파수에서 저주파로 분류된다.
auditory system 청각계, 청각 시스템: 듣는 기능을 담당하는 신체 부위로 크게 귀와 중 추청각 시스템을 의미한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음파는 귓바퀴에서 반사되어 외이도를 통과하여, 외이도 끝에 붙어 있는 고막을 두드린다. 중 이는 추골, 침골, 등골로 구성된 이소골을 통해 외이로부터의 음파를 내이의 난원창으 로 전달한다. 아울러 중이의 근육들은 내이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내이는 와우와 비 청각 구조들로 구성되어 있다. 와우는 림프액으로 찬 세 개의 부문으로 되어 있으며 두 부문을 나누는 기저막을 가로지르는 압력에 의해 일어나는 림프액에서의 파동을 유지시 킨다. 와우관에는 코르티기관이 자리 잡고 있는데 기계적 파동을 뉴런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와우에서는 주파수별로 소리가 분류되는데 와우의 유모세포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가면서 고주파수에서 저주파로 분류된다.
auditory system 청각계, 청각 시스템: 듣는 기능을 담당하는 신체 부위로 크게 귀와 중 추청각 시스템을 의미한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음파는 귓바퀴에서 반사되어 외이도를 통과하여, 외이도 끝에 붙어 있는 고막을 두드린다. 중 이는 추골, 침골, 등골로 구성된 이소골을 통해 외이로부터의 음파를 내이의 난원창으 로 전달한다. 아울러 중이의 근육들은 내이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내이는 와우와 비 청각 구조들로 구성되어 있다. 와우는 림프액으로 찬 세 개의 부문으로 되어 있으며 두 부문을 나누는 기저막을 가로지르는 압력에 의해 일어나는 림프액에서의 파동을 유지시 킨다. 와우관에는 코르티기관이 자리 잡고 있는데 기계적 파동을 뉴런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와우에서는 주파수별로 소리가 분류되는데 와우의 유모세포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가면서 고주파수에서 저주파로 분류된다.
auditory tests and procedures 청각검사 및 절차: 부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