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생언어

emergent language

emergent language 신생언어: 유아기와 초기 아동기에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를 포함한 언어습득의 발달과정. language 참조.

발생적 문식성, 초기 문식성, 초기 문해

emergent literacy

emergent literacy 발생적 문식성, 초기 문식성, 초기 문해: 아동이 읽기를 배우기 전에 알게 되는 문해 능력으로 쓰기를 통합한 개념이다. 이 단계에 있는 아동은 아직 관습적 인 감각으로 읽고 쓰지는 못하지만, 책을 어떻게 들고, 페이지를 어떻게 넘기고, 글자 와 그래픽을 구별하고, 책에 단어와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고, 사인과 이름의 글자 속 에 정보가 포함되었다는 것과 같은 기술 및 지식들을 습득하는 단계이다.

초기 문해력 경험

emergent literacy experiences

emergent literacy experiences 초기 문해력 경험: 성인이 책을 읽어줄 때 문어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한 아동의 생각을 키우는 것.

발생적 문해 기술

emergent literacy skills

emergent literacy skills 발생적 문해 기술: 나중에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는 선행 또는 추정되는 초기 기술

발생적 읽기

emergent reading

emergent reading 발생적 읽기: 발생적 읽기란 관례적 읽기에 선행되는 유아의 읽기를 말한다. 유아의 언어발달 과정을 볼 때, 읽기란 어느 한 순간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 이 아니라, 출생 직후부터 유아가 처한 풍부한 문해 환경 속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글자와 글을 인식하고 그 기능을 이해하며 글의 구조와 형태, 규약을 알게 되고, 초인지적 기능을 적용시킬 줄 알게 되는 것으로 관례적인 읽기를 향해 발달 해 간다. 이러한 읽기 과정을 발생적 읽기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발생적 철자 단계

emergent spelling stage

emergent spelling stage 발생적 철자 단계: 철자 발달단계에서의 가장 초기 단계. 이 단계의 아동들은 종이 전체에 낙서하는 듯한 표시를 시작한다. 이 아동들의 선 긋기 (drawing)와 철자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이 단계가 발달하면서 아동이 실제 철자 및 숫자를 사용할 때도 있지만, 철자들이 단어에서 소리로 표현된다는 것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house'를 ‘A1XT'라고 쓰는 경우가 나타난다. 알파벳 문자를 선 호하며,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space)를 넣지 않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기 시작한 다. 이 단계가 끝나갈 무렵에는 철자와 소리를 매칭하기 시작하여 ‘ball’과 같은 단 어는 철자 B로, 'alligator'는 철자 G로 표시할 수 있다.

창발주의

emergentism

emergentism 창발주의: 생물학적 기초를 가지는 학습과정이 환경으로부터의 입력자극과 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새로운 지식이 나타난다는 관점. 내적 구조의 처리과정이 환경 입력자극과 상호작용해서 나타나는 것이 내적 구조나 입력자극 중 어느 하나가 제공하 는 것보다 더 많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이 관점은 구성주의와 다르다.

기초적인 의사소통자

emerging communicator

emerging communicator 기초적인 의사소통자: AAC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개인 을 말한다. 이들은 ‘상징적인 언어’를 통하여 ‘의도한 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아직 가지지 못한다. 여기서 ‘상징적인 언어’는 지금-여 기를 넘어서 다른 시간이나 장소에 있는 것들에 하여 이야기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 을 말한다. ‘의도한 로’는 개인이 상징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 즉 식별할 수 있는 의사소통 행동을 하는지에 기반하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 는 의도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감정, 정서

emotion

emotion 감정, 정서: 느낌보다 더 강한 복합적 반응으로, 행동과 정신적 변화 및 명확한 실재를 향하는 변화 모두에서 증거로 나타난 동기 및 불안의 각성된 정신상태 혹은 감 정 상태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