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승마 요법

hippotherapy

hippotherapy 승마 요법: 승마를 활용해 무게 이동과 자세 및 균형 반응과 같은 운동의 특정 측면을 촉진하고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둔 치료법. 뇌성마비인의 근육 긴장도를 낮추기 위한 치료의 한 유형이다. 

해마

hipprocampus

hipprocampus 해마: 변연계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장기 기억과 공간 개념 및 감정적인 행동을 조절하는 기관.

히스키-네브라스카 학습적성검사

Hiskey-Nebraska Test of Learning Aptitude

Hiskey-Nebraska Test of Learning Aptitude 히스키-네브라스카 학습적성검사: 4~10세 아동의 사물조작, 그림완성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하위검사를 통해 비언어성 지능 측정; 원래 농아동용으로 고안되었지만,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기준치도 제공하고 있다.

도수분포도

histogram

histogram 도수분포도: 어떤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학(descriptivestatistics)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의 형식이다. 이 그래프는 점수의 빈도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히스토그램을 막대 그래프라고도 한다.

조직학

histology 조직학

histology 조직학: 인간의 구조물, 세포(cell), 조직(tissue), 기관(organ), 계(system)의 현미경적(microscopic) 구조와 각 구조물 간의 구조적, 기능적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직학은 현미경적 해부학(microscopic anatomy)과 동일한 의미로 쓰이며, 이는 육안해부학(gross anatomy)과 대비된 개념이다. 육안해부학이 사람의 육안(naked eye)으로 볼 수 있는 구조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반면, 조직학은 기본적으로 현미경(microscope)으로 관찰할 수 있는 구조물에 관심을 가진다.

역사 언어학

historical linguistics

historical linguistics 역사 언어학: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에 대한 연구. linguistics 참고.

역사 음성학

historical phonetics

historical phonetics 역사 음성학: 발달음성학. 진화 음성학.

이야기 말하기

history telling

history telling 이야기 말하기:‘이야기’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기’라는 동사가 결합되면서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과거에 종결된 사건을 의미하는 ‘이야기’와 이야기를 하는 행위를 표현하는 ‘말하기’가 결합되어 지금 여기서 이야기를 하는 현재성과 더불어 듣는 상대방을 상정한 상호작용성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목쉰 음성, 애성, 쉰 목소리

hoarse voice

hoarse voice 목쉰 음성, 애성, 쉰 목소리: 기식성과 거친 소리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목소리. 쉰 목소리의 통칭적인 표현(좀 더 세분화하는 경우, 쉰 목소리 중에서도 불쾌감을 주지 않는 목소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성대가 긴장해서 내는 부전실성증의 한 형태. 거친 소리(harshness)와 숨찬 소리(breathiness)가 결합하여 나는 거칠고 음도가낮은 소리가 난다. 어떤 환자에서는 거친 음성이 우세하고, 어떤 환자에서는 숨찬 소리의 요소가 강하다. 쉰 목소리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음성의 남용에서부터 후두염, 성대결절, 악성종양 등과 같은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Syn: hoars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