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ophysis 뇌하수체: 뇌의 기저부에서 시상하부에 연결된 작지만 가장 중요한 내분비선으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황체호르몬, 성장호르몬 등의 분비를 통제한다. =pituitary gland.
hypoplasia 발육부전(증), 형성부전(증), 저형성증: 조직이나 기관의 발육에 문제가 있거나 결손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세포 수보다 부족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aplasia; dysplasia 참조.
hypoprosody 과소운율증, 운율감소증, 저운율증: 저운율증. aprosody 참조.
hyporeflexia 반사저하: 정상적인 반사 기능의 감소 또는 불능(areflexia). 일반적으로 하부 운동 신경의 결함과 관련이 있다. 길렝-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 척수소뇌 변성증(Friedreich's Ataxia), 중심핵성근종(Centronuclear myopathy), 램버트-이튼 근무력 증후군(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 hyperreflexia 참조.
hyporhinolalia 과소비성: 과소비성. hyponasality 참조.
hypotelorism 과소격리, 양안과소격리증: 양쪽 눈의 간격이 너무 좁은 경우.
hypothalamus 시상하부: 시상의 아래 부분에서 발견되는 뇌의 구조로 시상하구에 의해시상과 구분된다. 이것은 신체의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에 영향을 미친다. 시상하부는 시상으로부터 많은 신경섬유와 척수 및 연수로부터 오는 흥분을 받을수 있는 많은 신경섬유들이 있다. 사람에 있어서는 약 5g정도의 작은 구조며 척추동물에서는 생체 내 환경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신체의 항상성을 관장하는 중추로 대뇌가 제거된 동물은 별 어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시상하부를 제거한 동물을 생존시키려면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자율신경 중추가 있어 체내의 내장효과기(호흡, 심장기능, 혈관운동)에 대하여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흥분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과 하위 중추와의 중계 역할을 한다. 신경하수체를 통해 배설하는 호르몬을 합성하며 이 호르몬들의 분비도 조절한다. 음수중추가 있어 수분평형 유지를 담당한다. 각성상태 유지와 주의집중력, 식욕과 음식물 섭취조절 중추가 있다. 시상하부에는 체온조절 중추가 있어 체온의 정상화를유지하고 있다. 먹고 마시고 성교 등의 기본욕망에 대한 기쁨과 충족 등의 보람 중추가있어 이를 원만하게 조절하고 있다. 공포, 분노와 같은 기본적인 정서반응과도 밀접한관련이 있으며 그 밖에 동공확대, 타액 분비 증가와 같은 현상에도 관계하고 있다.
hypothesis 가설: 단순한 고찰 이상의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정하기 위해 충분한 관찰을 기초로 한 예비적인 가정으로서, 검증을 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을 필요로 한다.
hypothesis testing 가설 검증: 영유아들의 언어 학습 책략. 아동은 끝을 올리는 억양의 예/아니오 의문문 형식으로 어떤 실체를 불러 봄으로써 그 이름이 맞는지를 알아내려한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