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에 반하는 항체 생산으로, 티록신 갑상선 호르몬의 일종의 생산이 제한되어 발생하는 자가 면역 반응으로 인한 내분비 장애.
hypotonic 저긴장형, 저긴장성: 어떤 근육의 긴장도나 긴장의 감소나 부재를 나타내는.
hypotonus 근육긴장저하, 이완, 저긴장, 근력저하: 근긴장이 너무 낮고 약하고 이완된상태. 근육에서 발견되는 이완성(flaccidity)를 말함. 운동이나 다른 발달적 문제의 신호일 수 있다.
hypoxia 저산소증: 신체 조직에 산소 공급이 저하되어 조직세포의 산소분압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 조직의 산소 소모량 증가 및 혈중 산소 농도의 감소와 연관이 있다. 호흡곤란, 두통 및 의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방치될 경우 뇌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hysteria 히스테리. 신경증, 병적흥분: 불안, 흥분, 정서 조절의 부족 등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정서장애. 스트레스가 압도적이게 되어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이 신체적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경험하는 신경증. 스트레스는 또한 우울증, 정신분열증과 같은 심각한 정신적 질환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다. 경미한 히스테리는 개체의 정상적 혹은 감각적 기능을 방해 혹은 상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맹, 농, 무감각증, 착어증, 마비, 또는 운동활동의 장애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 증상은 주로 신체적인 것이다. 치료는 저변에 깔려있는 스트레스 혹은 우울(증)의 제거를 포함한다. 심리치료(psychotherapy)이나 최면술(hypnosis)도 이러한 증상을 제거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hysterical 히스테리성, 신경증적: 히스테리의 혹은 히스테리와 관련된.
hysterical aphonia 히스테리성 실성증, 전환 실성증: 정서적인 스트레스에 기인한 음성상실로 갑자기 발생된다. 이런 형태의 실성은 견딜 수 없는 어떤 상황의 보호방책으로 보이기 때문에 언어치료 시에 정신과 의사나 임상심리학자와 긴밀하게 협조할 필요가 있다. 히스테리성 실성증은 비록 그 실제 원인은 기본적인 정서의 갈등이 깊숙이 깔려있는 경우가 많지만, 후두염이나 감기 등의 질병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기능적인 실성증을 전환장애로 분류하는데, 전환장애는 불안이 육체적인 증후, 즉 맹, 농, 마비, 음성상실 등으로 변환되는 신경증이다. 순수한 히스테리성 실성증자 중에 어려움 없이 콧노래를 하거나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특성들은 이 장애가 기질적 특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환자의 대부분이 여자들이며, 정서적으로 미성숙하고 과장되게 인정을 받고 싶어 하고, 암시를 받기 쉬운 사람들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들은 공개석상에서 자기의 감정, 특히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지 않으려고 한다. loudness disorder 참조.
hysterical deafness 히스테리성 농: 심인성 농. psychogenic deafness 참조.
hysterical dysphonia 히스테리성 부전실성증: conversion dysphon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