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부정어

negative terms

negative terms 부정어: 크기관계 형용사 중 해당 차원에서 가장 확장된 부정적인 극을 나타내는 단어를 뜻한다.

부적 전이

negative transfer

negative transfer 부적 전이: 어느 학습의 효과가 다른 학습을 억제 또는 방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

음성 모음, 약모음, 여린 홀소리

negative vowel

negative vowel 음성 모음, 약모음, 여린 홀소리: 우리말의 중성에서 ㅓ, ㅕ, ㅔ, ㅖ, ㅜ, ㅠ, ㅝ, ㅞ, ㅟ, ㅡ, ㅢ와 같은 모음. 모음조화에 있어서 중성 모음과는 잘 어울리나 양성 모음(예, ㅏ, ㅑ 등)과는 서로 피하는 경향이 있다.

거절증

negativism

negativism 거절증: 정신분열병에서 많이 나타나는 정신운동장애의 한 증세. 환자가 외부에서 오는 명령이나 타동적인 운동에 기계적ㆍ충동적으로 저항하여 반항하는 현상으로, 종명자동증(從命自動症)과는 반대되는 증세를 말한다. 의지의 피영향성(被%響性)이 상실된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팔을 굽혔다가 펴라고 하면 긴장감과 저항감을 나타내고, 방에 들어가게 하려면 들어가지 않으려고 버티고, 앉히려고 하면 반대로 일어서려고 한다. 또 방 한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외적인 자극을 거부하고 있는 것도 그 증세이다. 이러한 증세가 언어에 나타나면 함묵증, 식사에 대해 나타날 때는 거식증(拒食症)이라고 한다.

무시증, 무시증후군, 방임

neglect

neglect 무시증, 무시증후군, 방임: 1. 기본적인 감각, 지각, 운동기능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으나 한쪽에서 전달되는 시각, 청각, 촉각적 자극에 대한 정보 처리에 장애를 보여 감지를 못하거나 반응을 하지 않는 증세이다. 2. 아동에게 기본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을 제공하지 않아서 아동이 방치된 상태이다. 방임에는 신체적 방임, 지도의 소홀, 의료적ㆍ정서적ㆍ교육적 방임 등이 있다. 이 중 신체적 방임은 적절한 섭식을 제공하지 않거나, 기후에 맞는 의복을 제공하지 않거나, 무관심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노출시키는 등 아동의 건전한 성장 발달에 저해되는 무책임한 행동이 포함된다.

협상

negotiation

negotiation 협상: 어떤 목적에 부합되는 결정을 하기 위하여 여럿이 서로 의논함.

인접 밀도

neighborhood density

neighborhood density 인접 밀도: 음소적으로 목표 단어와 유사한 단어들의 수를 뜻하며, 전형적으로 하나의 음소가 대치, 생략, 첨가된 후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다른 단어들의 수를 말한다.

근접 빈도, 근접어 빈도

neighborhood frequency

neighborhood frequency 근접 빈도, 근접어 빈도: 근접어들의 평균사용빈도를 뜻하며, 이는 목표어와 유사한 근접어가 많은 것과 더불어 그 사용빈도 또한 높아서 목표어 인식에 어려움을 준다는 것을 설명한다.

신자기중심성

neo-egocentrism

neo-egocentrism 신자기중심성: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 아동이 메시지를 구성할 때 청자가 알고자 하는 것(또는 알기위해 필요한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동들은 화자의 관점을 거의 이해할 수 없지만, 아동이 인지적 및 사회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 더 효과적으로 청자에게 집중할 수 있다. 전제(presupposition) 능력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