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경학적 말장애

neurogenic speech disorders

neurogenic speech disorders 신경학적 말장애: 신경학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말장애. 말소리의 왜곡, 대치, 생략을 보이는 의사소통장애이다. 다른 말장애와는 달리 말 산출에 필요한 운동을 조정하는 신경체계의 기능이상에 의해 초래된다.

신경인성 말더듬

neurogenic stuttering

neurogenic stuttering 신경인성 말더듬: 신경계 병변 이후 말더듬이 나타나는 경우로 후발성 말더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다. 신경인성 말더듬을 유발하는 뇌졸중, 뇌종양, 뇌외상 등은 다양한 신경계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데 신경인성 말더듬 발생은 흔히 대뇌의 특정한 병변 위치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보고된다. 신경인성 말더듬은 발달성 말더듬과 달리 음절 단위에서 말더듬의 빈도가 매우 높으며 부수행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말하는 상활이나 시간적 압력, 문법적 복잡성과 같은 요소에 관계없이 말더듬이 나타난다. 말더듬은 단어의 어중이나 어말에도 나타나며 내용어 뿐만 아니라 기능어에서도 나타나며 같은 내용을 읽어도 적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자신의 비유창성에 대해 긴장과 공포를 보이지 않는다.

신경교 세포

neuroglia cell

neuroglia cell 신경교 세포: 뇌와 척수의 내부에서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신경세포의 활동에 적합한 화학적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 신경세포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여러 가지 대사기능을 수행한다.

뇌영상촬영

neuroimaging

neuroimaging 뇌영상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자기 공명 촬영과 같이 뇌의 구조와 뇌 손상 부위를 드러내는 데 사용되는 기법을 지칭하는 일반적 용어.

신경언어학

neurolinguistics

neurolinguistics 신경언어학: 뇌와 언어에 대한 연구. 언어 처리와 형성을 책임지고 있는 뇌의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에 관한 연구. 언어의 이해 및 표현을 위한 신경학적 프로그래밍과 언어 및 조음에서 이상이 생기는 원인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실어증, 말더듬, 운동구어장애 등에서 언어이상을 설명할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연구가 임상언어학에서 이루어져 왔고, 뇌가 언어의 조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가설들도 있다.

신경계의, 신경학의

neurologic, neurological

neurologic, neurological 신경계의, 신경학의: 신경계의 정상 및 병리적 상태 모두에 관한.

신경학적 비기능

neurological dysfunction

neurological dysfunction 신경학적 비기능: 일반적인 학습 불능이 아니라 변경된 처리과정의 문제인 뇌손상에 관한 용어. 그러한 손상을 가진 사람은 보통 정상과 지각적이고 통합하는 조직의 차이를 경험하기 때문에 정상인과 다르게 학습하는 경향이 있다.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일 수 있다. learning disabilit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참조

신경학적 장애

neurological impairment

neurological impairment 신경학적 장애: 중추신경계(뇌, 척수, 신경절과 신경)의 손상으로 생기는 신체적 장애이다.

신경전문의

neurologist

neurologist 신경전문의: 신경계의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