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l consonant 비음, 비성자음: consonant에서 manner of formation 참조.
nasal coupling 비강개방: 공기가 직접적으로 코를 통해 흐르도록 하기 위해 구개범(velum)이 아래로 내려가는 상태. voice disorders of resonance에서 hypernasality 참조.
nasal emission 비강 방출, 비강 누출, 콧김 방출: 말소리 산출 시 부적절하게 코를 통하여 빠져 나오는 기류로, 연인두부전과 관련하여 보통 비강과 구강 사이에 불완전하게 폐쇄됨을 나타내며, 전형적인 것이 구개파열 구어이다. 비강방출은 코를 통하여 공기가 방출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무성파열음과 마찰음을 산출하는 동안에 비강방출소리가 관찰되고, 비강공명은 발성된 음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르다. Syn: nasal escape.
nasal grimace 코 찡그림: 말소리를 산출할 때 주로 콧등(양미간 부위) 위나 콧날개 주변에서 관찰되는 근육 수축. 주로 구개열 아동의 조음음운평가 시 나타날 수 있는 보상 조음이다. 연인두 폐쇄를 달성하려 시도할 때 근육 반응이 과할 경우에 나타나며 대개는 비누출과 함께 나타난다.
nasal lisp 비성 리스프: 치찰음을 콧바람을 내뿜는(snorted) 무성/n/으로 대치하는 것. 혀는 둔하고, 입술은 이완되고, 공기는 뒤쪽으로 비껴나가서, 코를 통해 빠져 나온다. 일반적으로 구개파열자의 구어에서 들을 수 있다. lisp 참조.
nasal meatus 비도: 비강의 비갑개 바로 아래에 있는 3개의 통로 중 하나.
nasal molding 코 주형물: 입술 수술 전에 영유아의 비중격과 콧날개의 위치를 바로잡아주는 방법 중 하나. 대개는 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구강과 비강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nasal obstruction 비폐색: 코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장애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든 코 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며, 비저항, 비강 단면적 외에도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nasal port 비문, 비강 구, 비관: 구인두로부터 비인두까지의 통로. 구개범과 상인두괄약근의 운동에 의해 열려짐. Syn: nasal 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