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lance score 비성치: 검사대상자의 말에서 구강과 비강으로 산출되는 전제 음향에너지에서 비강으로 산출되는 음향에너지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수치로 nasometer로 측정한다. 비성치 = N/(N + O) x 100. (N: 비강음향에너지, O: 구강에너지). <참고> 비음/m, n, ƞ/은 자음의 종류이고, 비성은 비강에서 울리는 소리를 의미함으로 자음으로서의 비음을 의미하지 않을 때는 비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비음과 비성의 혼동을 피함이 좋을 것임.
nasalisation: Syn: nasalization.
nasality 비성성, 비성도: 음향학적으로 과도한 비성 성분을 가지는 모든 음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현상을 분류하는 용어. Syn: rhinolalia: rhinophonia.
nasalization 비음동화, 비음화, 모음의 비성화: 어떤 음을 조음할 때 비강 공명이 수반되는 현상으로 이웃한 비음에 의해 모음이 비성화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일은 적절한 연인두 폐쇄를 위한 충분한 구조의 부재, 혹은 구개범 구조를 조정하지 못한 결과 등일할 수 있음.
nasalization of oral phonemes 구강음의 비음화: 연인두 밸브가 열려 있기 때문에 생기는 구강음이 비음화 하는 오류.
nasalization of vowels 모음의 비성화: 1. 뒤에 오는 비음자음의 비성을 취하는 모음의 경향. 예) friend=frὲ. 2. 인접한 비음자음에 없는 모음에 비성의 첨가. 예) house=haʋ.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nasalization of vowels 모음의 비성화: assimilatory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naso- 비의, 코의: 코와 관계를 나타내는 접두어.
nasogastric tube feeding 경비위 영양관 식이법: 코 안으로 관을 넣어 위장까지 내려가게 한 뒤 음식을 공급하는 식이 방법이다. 비교적 쉽게 삽입되며 장관 식이법 때 제일 먼저 선호되는 방법으로 구강인두를 지나쳐 음식물을 직접 위로 전달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