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genic aphonia 심인성 실성증: 신체적 또는 신경학적 원인이 없는 갑작스런 목소리의 상실. aphonia 참조
psychogenic deafness 심인성 농: 견딜 수 없는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무의식적 수단들로써의 정서적인 스트레스의 결과일 수 있는 청력손실. Syn: conversion or hysterical deafness.
psychogenic mutism 심인성 함구증: 정신적인 충격 등으로 유발되는 함구증이다. mutism 참조.
psychogenic pain 심인성 통증: 기질적이거나 신경학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통증. 스트레스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두통 및 전신, 관절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피로감, 불면증, 우울 등을 수반하기도 한다. 진단에 앞서 먼저 기질적 및 신경학적 원인과 감별 진단을 한 후 심리적 및 행동적 처치를 해 보고 그 경과를 살펴본다.
psychogenic stuttering 심인성 말더듬: 심리적인 외상이나 불안으로 인해 성인기에 갑자기 나타난다. 심리적인 외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이 매우 개인적이므로 심인성 말더듬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전환반응장애, 공포, 우울증, 혹은 다른 심리적 장애와 관련한 원인과 복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심리적인 요인이 말더듬을 일으키지만 발생 시점에 다양한 스트레스나 대인관계의 갈등이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대부분 60세 이전에 나타나며,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 심인성 말더듬은 처음부터 연장, 막힘, 긴장, 심한 반복 등의 심한 말더듬 행동을 보인다. stuttering 참조.
psychogenic voice disorders 심인성 음성장애.
psychogenic voice therapy 심리적 음성치료: 음성장애의 원인이 심리적인 원인에 있다고 생각을 하고 음성재활과 더불어 심리적인 재훈련을 제시하고 있다.
psycholinguistic approach 심리언어학적 접근: 언어에 반영된 인간의 정신작용에 대해서 과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넓게 보면, 언어에 내재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모든 시도가 심리언어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Psycholinguistic Assessments of Language Processing in Aphasia(PALPA) 실어증에서 언어 프로세싱에 관한 심리언어적 평가: 1990년 Kay와 그 동료들이 개발하였다. PALPA는 성인 실어증자의 언어 프로세싱에 대한 포괄적인 심리언어적 평가를 하는 것이다. 평가하는 언어 프로세싱 영역은 철자법, 음운론, 단어와 그림의 의미론, 형태론, 구문론 등이다. 어휘 결정하기, 반복, 그림명명하기 등으로부터 환자의 반응을 얻는다. 그래서 여러 가지 검사들이 구어와 문어의 수용 및 표현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