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it brain patient 분리된 뇌: 뇌량이 절단되었지만 다른 대뇌 부위에는 손상이 없는 환자. 보통 간질 발작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뇌량을 절단한다.
split half reliability 반분 신뢰도: 한 개의 검사를 한 피험자 집단에게 실시하되 그것을 적절한 방법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 반분된 검사 점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둘 간의 유사성을 추정하는 신뢰도이다.
split half reliability coefficient 이분 신뢰계수, 반분 신뢰계수: 검사를 두 개의 비교 집단(일반적으로 홀수 번호와 짝수 번호 항목)으로 나누고, 비교하는 두 집단의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와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Spearman-Brown 예언 공식을 적용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Syn: odd-even method.
split screen 스프릿 화면: 2개의 다른 컴퓨터로부터 정보가 동일한 스크린에 함께 출력될 수 있는 처리과정(process).
split word 분리어: 어두음이 그 단어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는 단어. 조음치료, 말더듬치료, 어음청력검사(speech audiometry) 등에서 사용되는 어휘. 예) s—un.
splits 분리: 분리와 동맹의 개념은 원래 의사소통 분석연구에서 가족치료체계의 구조적인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서 도입한 것이다. 그는 체계의 균형원식을 응용하여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 사이에 동맹 또는 제휴가 형성되면 자동적으로 체계 내에 분리가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서로가 의존하고 있는 체계구조에 동맹 또는 분리가 생기면 체계의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주어 체계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개념을 치료에 가장 많이 적용한 사람은 미뉴친으로 현재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적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 내의 상반된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서로 동맹하고 있는 단위와 구별할 경우 자주 사용된다. 치료과정에서 가족의 상호 교류의 연쇄를 파악하면 가족체계의 여러 가지 수준의 기능이 동맹이나 분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 수 있다. 미뉴친은 치료자가 가족에게 증상이 적은 체계에 연결될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분리를 바꾸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splitting 분할: 외부의 대상을 좋은 것(good)과 나쁜 것(bad)으로 분할하여, 그러한 지각을 내재화시켜 무의식적 방어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대상관계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가족치료에서는 감정이나 사고가 가족 안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분할되어 체험된 것에 의한 상호 교류양상을 기술하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실에 대한 가족이해와 체험을 심하게 왜곡해 버려 가족은 전체의 상황과 관련이 없이, 내적 또는 외적 체험의 모든 것을 흑백으로 나누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교류양식은 가족 내부의 역할고정화나 외부경계의 경직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spoken discourse 입말 담화: 언어적 요소로 이루어진 텍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외적 요소가 함께 작용하는 공간이다. 크게 세 가지 요소로 보는데 담화를 녹음해서 전사한 담화적 실체로서의 입말 텍스트, 담화가 일어나는 상황, 담화 참여자의 공통된 지식이나 경험의 세계로 나눈다.
spoken language 구두언어, 구어: 1. 구어 즉, 입으로 이야기하는 말. 2. 보다 정확하게는 쓰인 말을 소리를 내어 발음하는 것인 낭독을 의미한다. '구어'와 '문어'의 개념은 '음성언어' '문자언어'의 개념과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는 의사표현의 수단에 따라 구별되는 것인데, 구어와 문어의 개념은 언어이동상(용어, 통사, 구조, 문체 등)에 따른 구별이다. 문자로 표기된 문장일지라도 언어의 양상이 일반회화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문자의 언어는 '구어'인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음성으로 표현되는 언어일지라도, 그것이 문장에서나 사용되는 언어 양상으로 된 것이면 '문어'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구어'는 주로 '구어문' '구어체'와 같이 일반회화에 쓰이는 언어양상으로 기록할 문자 혹은 문체를 가리키는데 흔히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