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SQ3R(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

SQ3R(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

SQ3R(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 효과적인 독서 방법의 하나. 학습전략 중 개관하기, 질문하기, 읽기, 암송하기, 그리고 복습하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학생은 자료에 대한 기억 및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단계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①훑어보기(survey): 책을 읽기 전 제목이나 목차를 보고 미리 내용을 추측한다. ②질문하기(question): 글을 읽으면서 누가, 어디서, 언제, 왜 등과 같은 질문을 만들어본다. ③자세히 읽기(read): 처음부터 차분하게 책을 읽어가면서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한다. ④암기하기(recite): 지금까지 읽은 내용을 책을 보지 않고 되새기면서 내 것으로 만들어본다. 기억이 나지 않는 부분은 표시해 둔다. ⑤다시보기(review): 부족했던 부분을 보충하고 전반적인 내용을 다시 확인하여 총 정리한다.  

편평상피세포

squamous cells

squamous cells 편평상피세포: 평평하고 nucleus에서 두꺼운 세포. epithelium 참조.

꺾쇠 괄호, 대괄호, 음운 표기용 [ ]

square brackets

square brackets 꺾쇠 괄호, 대괄호, 음운 표기용 [ ]: 음성 전사에서, 철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구어음을 나타내는 심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 ]. 문자 이름으로 보다는 구어음으로서 발음되어진다. phonetic transcription 참조. 

사시(斜視)

squint

squint 사시(斜視): 흔히 '사팔뜨기'라고 부르며, 아동의 정상시력 발달과정을 방해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정상의 경우는 양쪽 눈의 시선이 보려고 하는 물체에 모아져서 두 눈으로 동시에 그 물체를 바라본다. 사시란 양쪽 눈의 시선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서 한쪽 눈은 보려고 하는 어떤 물체를 보고 있지만 다른 한쪽 눈은 시선이 다른 곳에 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쪽 눈에는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외안근)이 6개가 있으며, 물체를 바라볼 때 두 눈의 근육이 서로 협동하여 수축을 하게 된다. 사시는 크게 내사시와 외사시로 분류한다. 비정상적인 눈의 시선이 안쪽(코쪽)으로 돌아간 경우에는 내사시라고 하고, 바깥쪽(귀쪽)으로 돌아간 경우를 외사시라 한다. 

안정성

stability

stability 안정성: 성조를 가진 분절음들이 탈락되고 성조만 남아있는 현상. 

안정화

stabilization

stabilization 안정화: 조건화에서 반응이 영구적으로 나타나게끔 하는 단계. 상황에 따라 변하지 않는 반응을 만드는 과정. 즉 적응 행동이 정해진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언제나 바르게 나타나는 것이 유지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stuttering modification therapy 참조.

스태프, 의사. 직원

staff

staff 스태프, 의사. 직원: 병원의 전문 직원. 

스태핑, 전문직원팀

staffing

staffing 스태핑, 전문직원팀: 다분야 팀 접근법으로서, 이 팀 구성원들은 어떤 장애나 질병, 교육 과정 등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과 관련된 과업에서 각자 자신들의 전문성을 이용한다.

발달 단계 모델

stage model

stage model 발달 단계 모델: 읽기와 같은 복합적인 행동을 습득하는 데 일어나는 변화를 이해하는 가장 공통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