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기문(氣門), 숨구멍, 소공(小孔), 기공

stoma

stoma 기문(氣門), 숨구멍, 소공(小孔), 기공: 후두적출술이나 기도적출술 후에 목에 낸 구멍. 이것을 통해 호흡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술을 받은 사람이 실신한다면, 구강대구강(mouth-to-mouth) 인공호흡법은 유용하지 못하고, 이 사람은 구강대기문(mouth-to-stoma) 인공호흡법을 받아야 한다. 이 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기문을 막는 것을 통해 식도구어를 산출할 수 있다. esophageal speech 참조.  

기문폭발음

stoma blast

stoma blast 기문폭발음: 후두적출자들이 기문을 통해 나오는 힘이 들어가거나 지나친 호기에 의해 산출되는 소리. 

기문 버튼

stoma button

stoma button 기문 버튼: 기문을 유지하거나 확장시키기 위해 후두적출자의 기문에 삽입된 작은 플라스틱 튜브.

구도, 구와

stomodeum

stomodeum 구도, 구와: 태내기 발육 3째 주에 생성되는 원시적인 입과 코. 

파열음, 폐쇄음

stop

stop 파열음, 폐쇄음: 공기를 완전히 폐쇄하여 발성하는 말소리. 폐쇄-파열음이라고 함. 어느 지점에서 성도를 완전히 닫고 나서 성도를 통해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산출되는 [p]와 [k]와 같은 자음소리. 구강 내에서 기류를 완전히 막음으로써 산출되는 음을 말함. 따라서 폐쇄음은 파열음을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onsonant, manner of formation 참조. plosive 참조.

정지기간

stop gap

stop gap 정지기간: 파열음을 내기 위해서 조음기관들이 닫히는데 요구되는 시간. Zebrowski, Conture, & Cudahy(1983)는 3-7세 사이의 11명의 말더듬인들과 통제집단의 구어에서, 정상자들의 파열음 산출에 대해서 정지기간의 지속시간과 기음의 지속시간 사이에 관계 즉, 긴 기음은 짧은 정지기간과 연관이 있었으나, 어린 말더듬인들은 기음의 지속시간과 정지기간 사이에 관계가 거의 또는 전혀 없었음을 발견하였다.

폐쇄-파열음

stop-plosive

stop-plosive 폐쇄-파열음: 자음을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다. 폐쇄 측면을 강조하여 폐쇄음(stop)이라고도 한다.  

폐쇄음화

stopping

stopping 폐쇄음화: 동일한 조음 위치에서 나는 음과 마찰음이나 파찰음을 폐쇄음으로 대치하는 것. 'fine' [baɪn], 'size' [taid], 'church' [tʌt], 'jump' [dʌmp]. articulation 참조.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마찰음의 폐쇄음화

stopping of fricatives

stopping of fricatives 마찰음의 폐쇄음화: substitution과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