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age 저장, 저장기: 부호화된 정보를 기억 체계 속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storage device 저장장치: disk 참조.
storage mechanism 저장 메커니즘: 물건이나 재화 따위를 모아서 간수하는 체제이다.
stories and strategies for communication(SSC) 의사소통을 위한 이야기 및 전략: 1992년에 Kovach 등이 고안함. SSC는 수용 및 표현 언어에서 현저하게 지체되고, 아직 128-location overlay를 사용할 수 없는 2세에서 6세 사이의 아동용으로 고안된 Minspeak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5가지 아동용 책(classic book)을 사용하여 문해기술(literary skills)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책으로는 Goodnight Moon, Three Billy Goats Gruff, Where the Wild Things Are, Jack and the Beanstalk 등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icon sequence를 사용하는 이야기 읽기와 그 이야기들과 관련된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활동에는 아동이 이야기를 다시 말하거나 재현(reenact)하도록 하는 이야기에 적합한 특정어휘(story-specific vocabulary)가 있으며, 이야기-확대 어휘(story-expansion vocabulary)는 이야기의 확대와 그 이야기의 주제와 핵심 어휘를 확장시키는 활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것은 항상 이용할 수 있고, 많은 활동에서 유용한 일반적인 의견이나 생각을 전달한다.
story 스토리: 특히 학령기 아동들의 담화 능력을 평가할 때 많이 이용된다. 이야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그림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이야기하기, 자신의 경험, 책의 내용 등을 이야기하기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이야기 능력을 평가할 때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등을 통해 이해력을 평가하고, 결속표지, 구성요소, 문법지표 등을 이용하여 표현력을 평가한다.
Story Articulation Test 이야기 조음 검사: 피험자가 짧은 이야기를 읽을 때, 조음능력을 평가한다. 그 이야기는 모든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도록 고안되었다. 주로 읽기 능력이 있는 피험자에게만 사용된다.
story completion 이야기 완성하기: 이야기의 첫 부분을 주고 나머지를 말하게 하는 것.
story comprehension 이야기 이해: 이야기 이해는 들려준 전체 이야기 내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정도로 사실적 정보의 이해와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으로 제한한다.
story generation 이야기 만들기: 이야기의 구성과 관련된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알아보는 평가방법이다. 이야기의 첫 부분을 듣고 나머지 내용을 완성하는 방법, 그림을 보고 말하는 방법, 친숙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는 방법, 자신이 경험한 이야기를 말하는 방법으로 화자가 이야기를 구성하여 자발적으로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