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이차 순위 틀린 믿음, 이차 틀린 믿음

second-order false belief

second-order false belief 이차 순위 틀린 믿음, 이차 틀린 믿음: 다른 삶의 생각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의 틀린 믿음. 타인이 가지고 있는 믿음에 대해서 또 다른 사람이 잘못된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타인이 알고 있는 지식에 대해 또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ory of mind 참조. 

이차조음

secondary articulation

secondary articulation 이차조음: 발음을 할 때 한 조음위치 이외에 다른 조음기관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앞의 조음을 주조음(primary articulation), 뒤에 조음을 이차조음이라 한다. 이처럼 주조음과 이차조음이 합쳐진 것을 복합조음(complex articulation)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경구개음화된(palatalized) 마찰음에서, 마찰음은 일차조음(primary articulation)이고, 구개음화(palatalization)는 이차조음이다. assimilation 참조.

이차적인 주의

secondary attention

secondary attention 이차적인 주의: 그림이나 조각품 등을 분석하는 등의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한 능동적인 주의. primary attention 참조.

이차성 자폐증

secondary autism

secondary autism 이차성 자폐증: 본질상 기질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자폐증으로, 발달기에 나타나고, 위축, 퇴화, 경직성 등의 기간이 많이 지난 후에, 최종적으로는 부분적 회복도 일어난다. childhood schizophrenia 참조. autism 참조. 

이차행동

secondary behaviors

secondary behaviors 이차행동: 핵심행동에 뒤따라서 발생되기 때문에 이차행동 혹은 수반행동이라고 한다. 이차행동은 개인에 따라 그 양상이 천차만별이며, 크게 핵심행동에서 빠져나오려는 도피행동과 말을 더듬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음 또는 단어, 상황공포를 피하려는 회피행동으로 나누어진다. 회피(avoidance), 연기(postponements), 시작계교(starters) 등이 있다. accessory behaviors 참조. 

말더듬의 2차성 특성

secondary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secondary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말더듬의 2차성 특성: 말더듬과 관련된 행동. stuttering 참조. 

부차적 이득, 2차적 이득

secondary gain

secondary gain 부차적 이득, 2차적 이득: 신경증적 이득. 

이차적 상호주관성

secondary intersubjectivity

secondary intersubjectivity 이차적 상호주관성: 한 대상에 대해 다른 사람을 관련시키는 능력. 영아들은 9개월 또는 10개월경에 이차적 상호주관성이 처음 나타난다. 

이차적 언어활동

secondary language activities

secondary language activities 이차적 언어활동: 각운과 단어 게임과 같은 언어의 소리를 조작하는 언어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