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선택적 함묵증

selective mutism

selective mutism 선택적 함묵증: 어떤 환경이나 장소에서는 정상적으로 말하다가도 다른 환경에서는 말하지 않는 상태. DSM-5에서 분리불안장애와 함께 새롭게 불안장애의 하위유형으로 포함된 장애이다. 교실에서 말이 없고 지나치게 부끄러움을 타는 아동에게서 주로 나타나는데, 가족이나 낯익은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들을 피하려는 습관이 있다. 이로 인해, 친구와 사귈 수 없고 동료끼리 함께 어울리지 못한다. 이 부끄러움의 정도가 심해지면 친숙하지 못한 환경에서는 말을 하려고 하지 않는데 이런 현상을 선택적 함묵증이라 한다. 사람들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며 언제나 구석으로 피한다. 그러나 집에서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계속 묻기도 한다. mutism 참조. 

자기 수용

self acceptance

self acceptance 자기 수용: 자신의 능력이나 처한 상황을 잘 인식하여 자신의 요구나 결점, 감정충동 등을 받아들이는 것. 이것은 정서적으로 성숙되고 안정된 사람의 특징으로 스스로를 확대하거나 거부하지 않으며 자기애나 자기중심성에도 빠지지 않고, 자신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반응하는 태도이다. 

자아실현

self actualization

self actualization 자아실현: phenomenological approach 참조. 

접촉 제스처

self adapter

self adapter 접촉 제스처: 머리, 얼굴 등 화자 본인의 신체 부분을 만지작거리는 행동을 의미한다. 화자 본인의 신체 부위나 옷자락 등을 반복적으로 만지작거리는 행동. 

자기 가치 확인

self affirmation

self affirmation 자기 가치 확인: 자신이 위협을 받는 영역과 관련하지 않으며 자기 개념을 능동적으로 확인하는 것. 심리적인 위협은 자기라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실제보다 자신을 높이 평가하거나 낮게 평가는 것은 스트레스 유발 및 자기 보호적인 반응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기 가치 확인은 자기 고양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반적으로 자기가 적절하다는 지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위협상황에서의 적응적 대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이 존재한다. 비슷한 용어로 자존감이 있는데, 자존감은 긍정-부정의 연속선에서의 전반적 자기 평가인 점에 차이가 있다. 

자기 확신 진술

self affirmation statement

self affirmation statement 자기 확신 진술: ‘나는 이것을 잘한다.’,‘이것은 약간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나는 해낼 수 있다.’와 같은 것으로, 긍정적인 자기 동기화(self-motivation) 전략 중 하나이다.

자기 공격

self attack

self attack 자기 공격: 스스로를 혐오스럽다고 느끼는 것. 외적으로 드러나는 행위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특성 또한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삶의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자기 자각

self awareness

self awareness 자기 자각: 자기 자신이 존재한다는 명시적인 이해. 

자조 능력

self care skill

self care skill 자조 능력: 자기가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능력. 이는 자신의 신체, 감정, 정서, 생각 등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식사하기, 옷 입기, 대소변 가리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