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correction request 자기교정 요청하기: 언어치료사가 아동의 말을 되묻거나 맞는지를 질문함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말을 스스로 교정하도록 하는 방법.
self criticism 자기 비난, 자아비판: 자기의 생각이나 행위에 대해 스스로 비판하는 일. 외적으로 드러나는 행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내면적인 특성 또한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삶의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self derogation 자기비하: 자신의 지위나 평가 등을 스스로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self determination 자기 결정: 개인의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자기지향적, 자율적으로 행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기결정 기술 중 구체적인 것들로는 목표 설정, 목표 달성, 선택 및 결정, 문제 해결, 자기조절, 자기교수, 자기지지, 자기인식, 자기효능, 삶의 기술, 계획하기, 계획 실행하기 그리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 등이 있다.
self direction 자기 감독, 자기 주도: 자기의 가치체계, 흥미, 노력에 기초하여 스스로 과제를 선택하고 과제를 완수하며 필요한 경우 도움을 요청하고 문제를 생산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self disclosure 자기 노출: 자신이 경험한 부정적 사건에 관한 내면적 스트레스를 말이나 글로 표현하도록 하여 외현화하는 방법. 오랜 기간 말더듬을 겪어온 대상자나 장애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중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self distraction strategy 자기 이탈 방략: 유아가 장난감을 보거나 생각하는 것이 장난감을 갖고 놀고 싶은 욕구를 억제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는 것을 알고 장난감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려는 방략을 뜻한다. 유아들은 장난감에 등을 돌리는 위치로 자리를 바꾸어 앉아 그림을 그리거나, 장난감 바구니를 종이로 덮거나, 심지어는 어릿광대의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손으로 귀를 가리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들은 유아가 자기이탈 방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self efficacy 자아 효능감: 특정 업무에 있어서의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말한다.
self efficacy 자아 효능감: 특정 업무에 있어서의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말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긍정 또는 부정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자아 존중감(self esteem)과는 차이가 있다. self esteem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