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자기구조화, 자기도식

self schemata

self schemata 자기구조화, 자기도식: 능동적으로 정신 과정들을 조직하고 개인이 의식적으로 또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결정하는 비교적 내구성을 지닌 인지 구조를 지칭한다. 대인관계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현상을 개념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견해에서 습득된 지식을 분석하고 일과 사건을 재해석하고 일반화한다. 

자기자극

self stimulation

self stimulation 자기자극: 감각 자극이나 자아 안정감을 얻기 위한 아동의 행동. 일시적인 자기자극은 발달의 특정 단계에서는 정상적이다. 이례적이고, 지속적이거나, 과도한 형태의 자기 자극은 정신지체, 자폐, 정서장애 및 신체장애를 포함한 특정 질환의 증상이다.

자기자극행동

self stimulatory behavior

self stimulatory behavior 자기자극행동: 신체의 일부분이나 사물을 반복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자신의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행동이다. 자신의 신체를 상해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점에서 자기상해(self-injurious behavior)와 구별된다. 자기 자극 행동은 하나의 감각 또는 모든 감각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자기자극 행동의 예로는 형광등을 응시하는 행동, 반복적으로 눈을 깜박이는 행동, 손을 자신의 눈앞에서 흔드는 행동 등이 있다.

혼잣말하기

self talk

self talk 혼잣말하기: 교사가 아동과 놀이를 하면서 자신의 행위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놀이 지향적이며 다소 구조화된 간접적 언어 자극 방법이다. 아동이 사과를 먹고 있을 때 교사가 옆에서 사과를 먹으면서 “사과 먹어요.”라고 말함으로써 아동이 낱말과 행동을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교사의 발화는 아동의 능력 범위 안에 있어야 하고 아동의 모방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자가 테스트

self test

self test 자가 테스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검사 기능 또는 진단 프로그램을 다른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실행하여 그 장치의 정상성을 확인하는 것. 

자아이론

self theory

self theory 자아이론: phenomenological approach 참조. 

자기언어화

self verbalization

self verbalization 자기언어화: 내면의 생각을 스스로 말로 표현하는 것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잘못된 신념을 강화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아동은 18개월경에 정서적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36개월에 이르기까지 자기와 타인의 정서를 명명하는 것, 미래의 정서 예측과 더불어 과거의 정서를 기억하고 언급하는 것, 정서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연결 짓고 이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배운다. 이러한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면서 내적 정서 상태와 정서 표현을 조절하는 데 유능해진다. 아동과 더불어 성인 또한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조절하는 데 이러한 자기언어화가 도움을 줄 수 있다. 

자가 음성 피드백

self voice feedback

self voice feedback 자가 음성 피드백: 평소에 쓰는 발음들을 녹음한 다음 이를 다양하게 변형, 연습하여 자신의 귀로 듣는 피드백을 의미함.

자기 가치, 자아 가치

self worth

self worth 자기 가치, 자아 가치: 자신에 대한 가치를 말한다. 학습자의 자기가치감은 수행수준, 능력에 대한 자기 추정이나 노력의 정도에 달려 있는데 이 중에서 능력에 대한 자기 지각이 자기 가치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준다. 이러한 요소를 스스로 확인하는 것은 개인의 심리적 탄력성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