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 학습 주도권이 학습자에게 있는 것으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 목표 설정 및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실행, 평가하는 학습방법.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 자신감, 자기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
Self-efficacy 자기효능감, 자아효능감: 자아개념의 측정변수로 특정의 개인이 특정상황에서 특정의 일을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에 관한 스스로의 믿음과 관련된 개념으로 특정한 일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둔다. 언어재활사가 직무수행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을 조직화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과 성공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져야하는데, 이러한 자기 능력에 대한 신념 또는 특정 상황에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믿음이다.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SRSD) 자기조절 전략 개발: 서술 텍스트와 설명 텍스트를 가르치는 데 사용하며, 또래 중재 방법으로 지도한다. 배경지식 개발하기, 단계 설명하기, 단계 모델링하기, 기억하고 연습하기, 지원하기,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등의 6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semanteme 의의소, 의미소: 기본 단어,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 base word.
semantic 의미의, 의미론의: 1. 단어나 다른 기호의 의미와 관계가 있거나 그러한 의미로부터 발생한 것. 2. 의미론과 관계있는.
semantic access 의미적 접근: 기존의 지식이 간섭자극이 되어 학습 및 기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
semantic alteration 의미적인 변경: 말더듬 환자가 그 말더듬이 자신에게 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기보다도 말더듬이 일어나면 정상적인 비유창성을 갖는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무엇이 자신의 유창한 구어산출을 방해하고 있는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즉, 말더듬는 그 순간, 자신이 말을 더듬고 있다는 그 현상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정상인의 정상적인 비유창성에 대한 대처방식과 같이 어떠한 상황이 자신이 말을 더듬게 하는지를 깨닫고 그 상황을 극복하는 것을 말한다.
semantic anomia 의미 명칭 실어증, 의미 이름대기 장애: 연결피질 감각 실어증과 관련이 있으며, 의미적 명칭을 말하는데 문제를 보인다. 이들은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지 못하고 산출할 수도 없다. 또한 이름대기 과업에서 단어의 이름을 말하지도 못하고 이름을 들려주어도 사물을 지적하지 못하며 심지어 익숙한 환경에서조차 산출하지 못하며 말이 혀끝에서 맴도는 것처럼 머뭇거리는 설단현상을 자주 보인다. 환자들은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따라 말할 뿐이다. 병변은 보통 두정-후두 영역, 특히 각회(angular gyrus)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semantic aphasia 의미 실어증, 어의 실어증, 문의 실어증: 두정엽 부근의 뇌손상 때문에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단어와 어구의 뜻을 모르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실어증. 단어와 구의 전체적인 의미를 인지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이전에 습득된 개념에 대해 적절하고 의미 있는 구어신호를 상기하거나 불러일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형성(formulation) 장애. Wernicke aphas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