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의미 치매

semantic dementia(SD)

semantic dementia(SD) 의미 치매: 전두측두치매와 진행성 비유창성 실어증과 더불어 전두측두엽치매의 한 아형이다. 해부학적으로 전두측두치매는 전두엽과 측두엽을 침범하는 질병임에 비해, SD는 측두엽만을 침범하므로 ‘측두엽 변이’라 불린다. 즉, SD는 전하방 측두엽의 국소 위축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사물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소실함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의미론적 차이

semantic differential

semantic differential 의미론적 차이: 동일한 단어나 생각에 대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는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대상, 사건 및 개념의 의미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평가 척도. 의미론적 차이는 단어, 특히 형용사의 의미를 측정하려는 보다 일반적인 시도이다. 응답자는 두 가지 극단 형용사(‘좋은-나쁜’, ‘적극적인-소극적인’, ‘가치 있는-쓸데없는’) 사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선택한다. 

의미적 요인

semantic factors

semantic factors 의미적 요인: 반의어, 동의어, 범주, 기능, 전체-부분, 순서, 원인, 상위-하위관계의 총 8가지로 유형이 구분되는 유추에 포함된 의미적 요인.

의미자질, 낱말 의미자질, 의미적 속성

semantic feature

semantic feature 의미자질, 낱말 의미자질, 의미적 속성: 어떤 특정 단어가 포함하고 있는 의미를 정의하는 지각적이고 개념적인 특징이다. 즉 한 단어를 특징짓는 의미의 지각적이거나 기능적인 측면을 말한다. 예를 들면 girl과 woman은 여성과 인간이라는 의미적 속성을 공유한다. 그러나 어리다(young)라는 속성은 girl에게만 내재할 뿐이다. 

의미영역, 의미부

semantic field

semantic field 의미영역, 의미부: 어휘항목(lexical items; 어휘목록을 이루는 단위)(예; 혈족관계, 색깔을 나타내는 용어)에 대한 개념적으로 동일한 집단이 의미영역을 구성한다. 어휘 항목을 구성하는 그 어휘적 항목의 의미는 부분적으로 그 영역 내에서 서로 계약되어 있는 감각관계(sense relations)에 의해서 결정된다.

의미 함축

semantic implication

semantic implication 의미 함축: 문장의 내용이나 구조가 함축하고 있는 원인, 결과, 및 부수적인 조건. 

의미론적 추론

semantic inference

semantic inference 의미론적 추론: 의미론적(어의적)인 것을 나타낸다. 즉, 의미나 뜻과 관련된다. 예컨대 명명 불능증은 의미론적 개념에 접근하는 것이 장애를 일으키지 않고도 단어 형태에 접근하는 것이 문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의미적 지식

semantic knowledge

semantic knowledge 의미적 지식: 특정 정보 맥락에 구애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규칙이나 사실과 의미를 담고 있는 지식이다.  

의미 기억

semantic memory

semantic memory 의미 기억: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을 저장하는 능력. 가령, 개는 동물이지만 고양이와 어떻게 다른지를 아는 능력 또는 좁은 거리가 고속도로와 어떻게 다른지를 아는 능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