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antic treatment 의미적 치료법: 언어의 의미적인 요소들을 치료에 활용하는 방법. 의미적으로 관련된 오답하기, 의미자질에 대해 예/아니오 분류하기, 다양한 의미적 단서와 의미적으로 관련 없는 단어 매칭하기 등의 방법들이 있음.
semantic typicality 의미전형성: 의미범주(semantic category)에 속하는 본보기(exemplar)가 그 의미범주를 대표하는 전형적 의미자질(semantic feature)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semantic web 의미망: 어떤 개념과 다른 개념 사이의 상관관계나 계층 관계를 그려 놓은 것. 또는 그러한 조직이나 짜임새.
semantic word fluency test 의미적 단어 유창성 검사: 특정 의미 범주에 속하는 단어를 제한 시간 동안 최대한 산출하도록 하는 것.
semantic-feature hypothesis 의미-자질 가설: 단어 의미가 생물/무생물과 남성/여성 같은 보편적인 의미 자질이나 속성을 표상한다는 이론. 어린 아이들에게는, 의미는 지각적 속성을 표상하는 것이다.
semantic-syntactic rules 의미-통사 규칙: 어린 아이의 초기 단단어 발화를 묘사하는 어순 규칙. 예로는 행위자+행위(agent+action)와 부정어+X(negative+X)가 있다.
semantically based grammar 의미에 기초한 문법: 행위자, 행위, 처소 등과 같은 의미에 기초한 범주에 대해 규칙이 작용하는 문법.
semantics 의미론, 어의론, 어의발달론: 단어 내용이나 의미, 또는 문법 단위를 지배하는 규칙에 관한 언어의 양상.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1. 언어, 사고, 행동 등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언어에서의 의미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의미는 본질적으로 심리적 현상이므로 직접 관찰할 수가 없고, 내성적인 방법으로도 그 본질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언어학의 다른 분야보다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하다. 2. 구어 형태의 의미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단어나 단어군의 의미 변화와 발달에 대한 의미 연구. 3. 단어 의미 발달에 대한 연구. 의미론의 목적은 모국어 사용자가 어떤 문장은 의미있는 문장이고, 어떤 문장은 애매한 문장이고 또 어떤 문장은 예외적인 문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지식을 설명하도록 하는데 있다. 현대 언어학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은 어휘론적 의미론(lexical semantics)인데, 이것은 어휘 내에서의 구조적 관계(예: autonomy, synonymy, hyponymy, truth-conditional semantics)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의미론은 문장은 사실인 진술(statement)을 표현할 수 있다는 상황(현실 세계 혹은 있을 수 있는 세계에서)이라는 견지에서 그 문장의 의미가 특징지워진다는 입장을 가지고 문장의 의미에 접근하는 접근법이다. grammatical component 참조.
semantigenic theory of stuttering 말더듬의 의미기인론: 사건과 행동에 대한 일반 의미론적 접근이론으로 아동의 정상적인 비유창성에 대해 부모나 가족 구성원들이 과민 반응과 같이 잘못된 의미를 붙임으로써 말더듬이 발달된다고 주장한다. diagnogenic theory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