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민감기

sensitive period

sensitive period 민감기: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이 특정한 발달기간에 더 크지만 그 후에도 언어습득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정적 시기 대신 사용되는 용어. 어떤 심리적 특성이나 행동이 특정 시기에 획득되어야 하며, 그 시기가 지나면 획득 불가능하다는 발달의 비가역적 성격을 뜻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Erikson의 이론에서는 유아기가 기본적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결정적 시기라고 하는 반면, Piaget의 이론에서는 이 시기가 감각운동적 사고를 획득하는데 결정적 시기라고 한다. 그러나 결정적 시기의 존재에 대해서는 발달심리학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민감성, 민감도

sensitivity

sensitivity 민감성, 민감도: 1. 감각생리에서는 자극을 받으면 일어나는 전기적 흥분, 즉 임펄스가 나오기 쉬운 상태가 될 때 감수성이 예민하다고 말하며, 그렇지 않을 때는 둔하다고 말하는데 이러한 정도를 뜻한다. 2. 감정에 관해서 민감성이라고 할 경우는 사소한 자극이나 사건으로 상처를 받고, 쉽게 흥분하는 성질을 가리킨다. 3. 어떤 검사를 실시한 결과로 질병이 있음을 정확하게 판정해 낼 수 있는 정도. 특정 검사가 질병이 있음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비율. 

음향 반사를 통한 민감도 예측

sensitivity prediction from the acoustic reflex(SPAR)

sensitivity prediction from the acoustic reflex(SPAR) 음향 반사를 통한 민감도 예측: 청력 손실의 정도를 비슷하게 하기 위해서 순음에 대한 중이근의 반사역치를 광역대 소음에 대한 반사역치와 광역대 소음을 여과한 저주파 및 고주파에 대한 반사역치를 비교하는 절차. 

감수성 훈련, 민감 훈련

sensitivity training

sensitivity training 감수성 훈련, 민감 훈련: 사회성 기능(social skill) 훈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 기법으로, 집단 내에서 참여자 자신들이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통해서 학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훈련은 사회성 기능들을 배우기 위한 절차이기 보다는 오히려 타인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배우고, 개인 상호간의 관계를 개선시키고, 환자의 자신감(self-confidence) 확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립집단(encounter group)과 T집단(T-group)이 사용되는 두 가지 유형의 기법이다. 

감지 작용, 감지기 작동

sensor operation

sensor operation 감지 작용, 감지기 작동: 다양한 감각 통로를 통해 구어 신호 산출의 모든 측면에 대한 정보가 화자에게 되돌아오는 것. feedback 참조.

감각운동적 활동

sensorimotor act

sensorimotor act 감각운동적 활동: 행동은 근본적으로 감각과 운동 메커니즘이 결합하여 기능하는 것에 의존한다. reflex arc 참조.

감각운동 궁

sensorimotor arc

sensorimotor arc 감각운동 궁: 반사궁. 

감각운동 피질, 상두정소엽

sensorimotor cortex

sensorimotor cortex 감각운동 피질, 상두정소엽: 손가락, 팔, 자세, 태도 등에서 비롯된 감각적인 인상을 처리하는 일을 담당하는 피질. 더불어 공간의 변화에 따라 신체를 조정하는 일을 담당한다. superior parietal lobule 참조.

감각운동기, 감각운동 단계

sensorimotor period or stage

sensorimotor period or stage 감각운동기, 감각운동 단계: 피아제의 아동 인지 발달 4단계 중에서 첫 번째 단계. 이 단계는 아동의 출생에서부터 2세까지 해당하며, 사물에 대한 아동의 인지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동이 행위와 대상에 관한 지식을 감각적이고 운동적인 입력을 통해 습득하는 단계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동은 사물이 자신이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사물과 관련된 행동을 할 수 있지만, 사물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그와 관련된 행동을 하지 않는다. 이것이 사물의 영속성에 대한 피아제의 이론이다. 모방과 놀이 활동의 발달은 사물을 상징화하는 아동의 능력에 있어 중요하다. 이 단계의 말기에서, 아동은 자신의 기억에 저장된 사건들을 실행할 수 있다든지, 어떤 사물을 다른 사물로 상징화하여 가지고 놀이를 하는 것 등과 같이 아동은 따라하는 모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징화에 대한 아이디어는 언어발달에 대한 피아제 이론에서 핵심이다. 피아제는 아동이 상징화를 습득하지 않으면 언어를 발달시키지 못한다고 믿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피아제는 상징화에 내재된 인지적 사건들이 습득되지 않으면 언어는 나타나지 않으며, 따라서 언어는 인지발달의 결과이라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