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각기(感覺器)

sensory organ

sensory organ 감각기(感覺器): 각 감각기는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의 종류나 구조가 각기 다르지만 공통되는 몇 가지 기본 특성을 갖고 있다. 첫째, 1가지 형태의 자극에만 그리고 제한된 범위의 강도 안에서만 반응한다. 둘째, 감각기세포들은 에너지를 전환하는 변환기의 역할을 한다. 그들은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너지를 모두 동일한 형태의 전기신호로 바꾼다. 셋째, 감각기세포는 보통 시냅스를 통해서 2번째, 3번째 또는 그 이상 되는 여러 단계의 구심성 뉴런(afferent neuron)과 연결되고 신경충격은 이들의 축삭을 통해 대뇌피질까지 도달하게 된다. 뇌의 각 부위는 각각의 감각정보를 해석하는데 특수화되어 있고 각각의 감각뉴런들은 자신이 받은 정보를 해부학적으로 서로 분화된 특정한 신경로를 통해 뇌나 척수의 특정 부위로 전달한다. 넷째, 감각기나 감각뉴런들은 같은 크기의 자극이 지속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에 대한 반응이 점차 감소되거나 충격발사가 완전히 사라지기도 하는데 이를 감각순응이라 한다.

감각 마비

sensory paralysis

sensory paralysis 감각 마비: laryngeal sensory paralysis 참조.

감각-지각 훈련

sensory perceptual training

sensory perceptual training 감각-지각 훈련: 재활훈련에서 기능훈련의 한 영역으로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기능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언어발달 이전에 충분한 감각 및 지각 발달이 선행되어져야 정상적인 언어발달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언어치료에서 감각기능훈련은 중요한 영역이다. 1) 감각기능 ①형태나 색의 식별 ②소리의 반응, 집중 및 변별 ③크기, 모양, 질감, 온도의 변별 2) 지각기능 ①눈과 손의 협응 운동 ②도형과 배경 ③형의 항상성 ④공간위치, 3) 감각의 보조적 수단 활용 ①약시 렌즈의 활용 ②보청기의 사용.

감각수용기

sensory receptor

sensory receptor 감각수용기: 감각기와 뇌신경, 말초신경, 자율신경 등의 신경을 잇는 신경접합부에 있으며, 감각자극을 받아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감각신경섬유에 전달하는 수용기를 총칭한다. 감각수용기는 각각의 수용기에 적합한 자극만을 받는 성질이 있다. 예를 들면, 시각기인 눈은 빛을 자극으로 받아들이지만 소리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것을 적합자극이라 하는데 이것도 그 감각기에 적합한 자극을 전부 받아들일 수는 없고, 절대역이라는 감각기로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만 수용하는 자극 강도의 한계점이 있다. 어떤 자극이 일정 시간 유지되면 감각의 자각이 약화되어가는 순응이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감각등록기

sensory register

sensory register 감각등록기: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을 아주 짧은 기간 동안 감각기관에 주어진 그대로 저장해 두는 곳이다.

감각 척도

sensory scale

sensory scale 감각 척도: 관찰자의 경험과 매우 일정한 관련성이 있는 특정한 속성의 양(강도, 음도) 사이의 수적 관계. 그러한 척도의 개발에서 기본 방법은 세분화 판단이다. 예) 기타를 조율할 때, 한 음이 다른 음과 조화를 이룰 때까지 반음 높게 또는 반음 낮게 조율한다.

감각적 자극

sensory stimulation

sensory stimulation 감각적 자극: perceptual stimulation 참조. 

감각 자극

sensory stimulus

sensory stimulus 감각 자극: 여러 가지 감각체가 수용기에서 전기 충격을 일으키고 신경 충격에 의한 에너지가 신경섬유를 따라 이동하여 뇌에 도달하여 지각하는 과정. 

감각 트릭

sensory tricks

sensory tricks 감각 트릭: 근 긴장 이상증 환자들이 불수의적인 근수축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보이는 특이한 행동. 예를 들면 아래턱에 나타나는 근긴장 이상증을 멈추기 위해 턱 끝을 만지거나 혀에 나타나는 근긴장 이상증을 억제하기 위해 입안에 사탕을 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