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형태

shape

shape 형태: 어떠한 구조나 전체를 이루고 있는 구성체가 일정하게 갖추고 있는 모양. 

모양 편향

shape bias

shape bias 모양 편향: 유아들이 초기에 습득하는 단어들 중 명사들은 대부분 모양에 의해 조직화되는 경향이 분명히 나타나며, 모양에 기반을 둔 명사에 대한 사전 학습은 추가된 사물의 모양 속성을 향한 주의력을 고조시킨다. 

형태 손짓 단서

shape gestural cues

shape gestural cues 형태 손짓 단서: 정지 동작으로 사물의 형태를 묘사. 

조건 형성, 형성, 형성하기, 행동형성법

shaping

shaping 조건 형성, 형성, 형성하기, 행동형성법: 기대되는 최종적인 반응에 점차로 가까이 접근하도록 강화하는 과정. 연속적으로 표적 수행에 근접한 행동에 대해 강화를 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는 과정. 피험자의 행동목록에 없는 바람직한 최종행동(terminal behavior)이 형성될 때까지 최종행동에 계속적으로 접근하는 행동을 차별강화하는 절차이다. 먼저, 바라는 반응을 구체화하고, 다음에 그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강화한다. 일단 이러한 반응의 빈도가 증가되면, 피험자는 바라는 반응과 더욱 비슷한 반응을 나타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기법은 차별강화의 특수한 한 형태이다. 강화의 기준은 그 반응이 나타나고, 강화 받고, 습득될 때까지 바라는 반응의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변경된다. 행동형성법은 바람직한 행동이 일어나지 않거나 그 작동수준이 매우 낮을 때 사용될 수 있는 절차이다. 예를 들면, 소란행동을 하는 아동이 행동수정의 대상자라면 그 아동이 소란행동을 하지 않을 때 강화를 해야 한다. 그러나 이 아동이 오전 내내 소란행동 없이 조용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10분 동안 소란행동을 보이지 않으면 강화를 주고, 그리고 차츰 15분, 30분, 1시간, 2시간, 오전 내내 등으로 시간을 늘려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의 정숙한 행동을 수 분에서 약 3시간에 이르는 시간 동안 소란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행동형성 과정은 ①목표행동의 선정, ②최초 행동 선정, ③강력한 강화인자의 선정, ④발생빈도가 높아질 때까지 최초행동을 강화, ⑤목표행동을 향한 점진적인 접근에 강화. ⑥목표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강화, ⑦간헐 강화 스케줄에 따라 목표행동을 강화 등이다. 

함께 읽기, 합독

shared reading

shared reading 함께 읽기, 합독: 읽기 초보자를 위한 함께 읽기방법을 의미한다. 읽기에 익숙하지 못한 학습자를 교사나 부모, 읽기능력이 우수한 친구가 함께 읽으며 읽기를 도와주는 읽기 지도법이다. 

급하강 곡선, 급추형

sharply falling curve

sharply falling curve 급하강 곡선, 급추형: 고주파수에서 옥타브마다 약 15~20dB씩 하락하는 청력손실을 나타낸다. audiogram configration 참조.

전단효과, 좌굴효과

shearing effect

shearing effect 전단효과, 좌굴효과: 중이에서 고깔 모양의 고막이 소리를 모아주는 집음효과와 고막이 긴장된 후 다시 복원되는 과정에서 고막에 밀착된 추골병에 음압이 증강되는 효과를 가리킴. 

조개껍질형 이어몰드

shell earmold

shell earmold 조개껍질형 이어몰드: 최대의 편안함을 위해 가능한 모든 부피를 제거한 표준 귀형. 표준 귀형의 특성과 같은 음향적 특성을 유지한다. 귀 수준 보청기와 함께 사용된다. earmold 참조.

보호작업장

sheltered workshop

sheltered workshop 보호작업장: 장애를 가진 사람이 고용 훈련을 받고 월급을 받기 위해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화된 작업 환경. 어떤 사람들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경쟁 고용을 위한 단기훈련으로서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어떤 사람들을 위해서는 평생 작업 환경을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