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셔만-루이스 검사

Sherman-Lewis Scale

Sherman-Lewis Scale 셔만-루이스 검사: 말더듬의 심한 정도 측정검사도구 중 하나로, 여기에는 아이오와 말더듬 평가척도도 있는데 이것과는 좀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말더듬의 심한 정도가 경도에서 고도까지 있는 9개의 말더듬을 녹음한 테이프를 샘플로 사용한다. 어떤 말더듬인의 구어를 녹음한 샘플을 듣고 이러한 9개의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이다. 이 절차는 복잡하며,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신체적 행동 특성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는다. 빈도를 결정할 때 시각적인 실마리는 중요하지 않지만 말더듬이 개인의 말더듬의 순간 각각에 대한 심한 정도를 더 완벽하게 임상적으로 서술할 필요가 있을 때는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행동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말더듬인은 눈으로 관찰 가능한 주의를 끄는 그 자신의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상당히 치료를 받은 후에도 청각적으로 주의를 끄는 행동은 같은 수준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검사에는 필히 아동의 행동특징을 함께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동키

shift key

shift key 이동키: 키보드에 있는 어떤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 이 키를 누르면 소문자가 대문자로 바뀌게 된다.

전환

shifting

shifting 전환: 다른 방향이나 상태로 바뀌거나 바꿈. 

쉼머, 진폭변이, 진폭 변동률

shimmer

shimmer 쉼머, 진폭변이, 진폭 변동률: 1. 음성에서, 개인이 일정한 주파수와 강도에서 연장발성을 시도할 때 나타나는 성대 진동(glottal pulses)의 진폭에서의 주기 간 변동을 말한다. 진폭 변동(amplitude perturbation)이라고도 한다. 주로 성문 역학의 규칙성(특히 성문 폐쇄성)을 나타내어 음성의 거침(roughness)을 지각하는데 관련이 있다. jitter 참조. 2. 음의 강도(dB)에서의 리듬 있는 변동. Syn: amplitude shimmer.

설단소증

short frenulum

short frenulum 설단소증: 혀 밑에서 잇몸의 안쪽 가운데와 혀끝이 짧게 붙어 있는 현상. 정확한 발생 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임신 중에 어떠한 원인으로든 태아의 발육에 미치는 인자가 작용했으리라 추정된다. 최근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증상으로는 말을 시작하기 전에는 혀를 입 밖으로 내보일 때 혀끝이 뾰족하게 되지 않고 하트 모양으로 가운데가 들어가 보인다. 그 밖에 특이 증상은 없으나 발음을 시작하면 혀를 입천장에 붙여서 발음하는 'ㄹ' 발음에 장애가 생겨서 따라서 혀 짧은 소리를 내게 된다. 또한 외국어 공부를 하게 되면 발음상에 지장이 많아 연습을 많이 해도 발음을 못하는 부분이 있다. 

미세증가감성지수

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SISI)

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SISI) 미세증가감성지수: 검사시간 동안 소리 크기를 작게 증가시키는 것을 도입하는 것으로 구성된 감별 민감성 검사(differential sensitivity test). 감각신경성 청력손실인 피검자는 소리의 크기에서 대단히 작은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지만, 반면 정상청력이나 전도성 청력손실 피검자는 어떠한 변화도 듣지 못할 수 있다(혹은 단지 몇 개의 소리만 들을 수 있을 것이다). 20dB SL에서 제시된 순음자극에 대해 작은 차이(1dB)를 인지하는, 환자의 능력에 기초한 이상적인 방법. 특정 주파수의 20dBSL을 계속 들려주다가 갑자기 1 dB를 상승시켰다가 다시 내려주기를 20 회 정도 반복하여 75% 이상 맞추면 달팽이관의 유모세포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상청각, 중이염 등으로 인하여 음향저항(acoustic impedance)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등의 경우는 대개 25% 이내의 점수가 나온다.

단기 청각 재생 및 보존력 검사

Short Term Auditory Retrieval and Storage Test(STARS)

Short Term Auditory Retrieval and Storage Test(STARS) 단기 청각 재생 및 보존력 검사: 초등학교 1학년~고등학생 단기청각회상 및 기억력검사. 양쪽 귀로 동시에 구어자료를 듣는다는 개념을 이용한다.  

단기기억

short term memory

short term memory 단기기억: 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방금 일어난 사건에 대한 기억으로 대게 20~30초밖에 보관되지 않음. 노년기에는 명백하게 단기기억의 감퇴가 일어난다. 노년기에 단기기억능력이 감퇴되는 것은 새로 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역량이 감소되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memory 참조.

뇌성마비아용 간편 조음검사

Short Test For Use With Cerebral Palsy

Short Test For Use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아용 간편 조음검사: 4세에서 16세 사이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독립된 단어에서 자음 /p/, /b/, /m/, /d/, /t/ 등의 자발적 산출을 유발하기 위해 그림을 이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