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묵음 연장

silent prolongations

silent prolongations 묵음 연장: 비유창성의 유형. 유성음이 없는 상태에서 조음상태를 긴장된 자세로 연장하는 것.

눈으로 읽기, 묵독

silent reading

silent reading 눈으로 읽기, 묵독: 글을 읽는 한 방법으로, 소리 내지 않고 읽어서 의미를 이해하는 행위. 눈으로만 읽기.

유사 실어증 장애

similarity disorder of aphasia

similarity disorder of aphasia 유사 실어증 장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는 장애. Wernicke aphasia 참조.

직유, 직유법

simile

simile 직유, 직유법: 설명의 대상인 주제(목표)와 주제를 명료하게 서술하기 위해 사용된 매체로 구성되며, 이둘 사이의 유사성을 전제로 속성이나 특질 또는 관계를 비유하는 표현법이다.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처럼’, ‘듯이’와 같은 연결어로 결함하여 직접 비유하는 수사법이다. “돼지 같이 먹다(eats like a pig)”나 “한 송이 꽃처럼 아름답다(lovely as a flower)”를 들 수 있다. figure of speech 참조.

단순실어증

simple aphasia

simple aphasia 단순실어증: 1960년대에 Schell이 제안한 실어증의 유형. 이 실어증은 실행증이나 운동구어장애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특정 인지능력이나 감각 운동 능력에는 장애가 없고 운동구어장애도 없으나, 전반적인 모든 언어양식에 경미한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aphasia 참조.

경미한 우울증

simple depression

simple depression 경미한 우울증: 슬픈 감정, 불행하고 걱정되는 감정을 가진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활동이 느리다. 결과적으로 모든 활동에 흥미를 잃어버린다. 의료적인 문제는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depression 참조.

단순미래시제

simple future tense

simple future tense 단순미래시제: 계속 일어날 어떤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  

단순 배음 운동, 단순화음

simple harmonic motion(SHM)

simple harmonic motion(SHM) 단순 배음 운동, 단순화음: 1. 휴식 상태에서 물체가 대칭적이며 주기적으로 이리저리 운동하는 것. 물체의 진폭을 시간에 따라 그림으로 그리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은 사인파이다. 순음은 SHM에 의해 산출된다. 2. 모양이 같은 순환운동을 선으로 나타낸 것. 

단순 부분 발작

simple partial seizure

simple partial seizure 단순 부분 발작: 의식을 잃지 않은 상태에서의 갑작스러운 경련 운동으로 특징 지워지는 일종의 간질 발작. 국부 발작은 매주마다, 매월마다, 혹은 1년에 한 번 내지 두 번 정도 일어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