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Smit-Hand Articulation & Phonology Evaluation(SHAPE)

Smit-Hand Articulation & Phonology Evaluation(SHAPE)

Smit-Hand Articulation & Phonology Evaluation(SHAPE): 3~9세 연령의 아동들에 대한 조음 및 음운을 검사한다. 80개의 자극 카드들을 사용하여 어두 및 어말 자음과 자음군(cluster)의 산출을 검사한다.

스미스-존슨 동작성 성취도 검사

Smith-Johnson Nonverbal Performance Scale

Smith-Johnson Nonverbal Performance Scale 스미스-존슨 동작성 성취도 검사: 2~4세 강점과 약점을 나타내주는 광범한 능력들에 걸쳐서 장애 아동들의 발달 수준을 측정: 청각장애, 언어발달지체, 문화적으로 박탈된 아동들에게 유용함.

스미스-레미-오피츠 증후군

Smith-Lemli-Opitz syndrome

Smith-Lemli-Opitz syndrome(SLOS) 스미스-레미-오피츠 증후군: 상염색체 열성 유전장애로 인해 발생하고, 느린 성장과 소두증 및 경증에서 중도의 지적장애를 보인다. 구개열, 심장결함, 2번째와 3번째 발가락의 융합, 남성의 외부성기 발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평활근

smooth muscle

smooth muscle 평활근: 장시간에 걸쳐 느린 수축을 하는 근육. 이 근육은 자율신경계(ANS)의 통제를 받는다. 이 근육의 섬유는 방추 모양과 비슷하며 말단부위가 얇으며 반면에 근육의 핵을 포함하는 중심부는 두껍다. 평활근은 불수의 근육조직이며 불수의 신경과 특정 호르몬에 의해 활성화(innervate)된다. 이 근육은 내장, 호흡통로, 비뇨생식계, 안구의 홍채, 혈관벽 등에 분포한다.

스넬렌 시력표

Snellen chart

Snellen chart 스넬렌 시력표: 1862년에 네덜란드의 안과의사가 개발한 시력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트로서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음. E자가 아래로, 위로, 오른쪽으로, 왼쪽으로 향하거나 글자들의 줄로 구성되어 있음. 각각의 줄은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이 글자들을 변별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함. 

냄새 맡기 기법, 비강흡입법

sniff method

sniff method 냄새 맡기 기법, 비강흡입법: speech, methods of esophageal speech 참조. alaryngeal speech 참조. 

코골기

snore

snore 코골기: 수면 중에 호흡에 따라 일어나는 기도의 진동음, 가장 많은 것은 연구개의 진동이지만 인두나 코 벽의 분비물에서 유래되는 것도 있다.

스노볼 샘플링

snowball sampling

snowball sampling 스노볼 샘플링: 소개의 소개를 받아 계속 연구대상이 표본으로 선택되는 비확률적 샘플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할 때 모집단에 속하는 연구대상을 찾기에 유용한 방법이다. 

사회적응지수

Social Adequacy Index(SAI)

Social Adequacy Index(SAI) 사회적응지수: 어음 명료도 검사에서 일상회화의 약음, 중등음, 강음인 55, 70, 85dB의 어음 강도에서 어음 명료도를 구하여 이들의 산술평균치를 사회적응지수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