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age 사회 연령: 사회생활을 하는 데 요구되는 사회적 능력(사회 적응, 대인관계 등)을 나타내는 생활연령. 반드시 지능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적절한 경험 및 교육을 통해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social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 소아기 사회성 불안장애: phobic anxiety disorder of childhood 참조.
social approach 사회적 접근: 개인의 행동, 정서 및 생각이 실제로 존재하거나 또는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대상자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에 관하여 접근하는 방법. 이는 사회적 참여와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또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또래집단 내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아동의 능력은 사회적 유능성의 중요한 지표이다.
social babbling 사회적 옹알이: 유아가 다른 사람들이 낸 음이나 구어 자극에 유사하게 반응하여 산출한 발화. 일반적으로 생후 약 6개월에서 9개월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social behavior 사회적 행동: 사회적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행동이다.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행동을 포함한다. 사람들은 동료들이나 집단에 포함되고 소속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재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람들은 집단으로부터 배척받을 가능성이 있는 행동을 기피하고 사회적 규범에 따라 행동한다.
social cognition 사회적 인지력: 사회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 가령 모르는 사람과 처음 만났을 때 피부색, 복장, 머리 형태 등이 신체적 특징이나 성별, 직업, 연령 등의 단서로 상대방을 파악하고 이러한 단서들이 갖고 있는 사회적 의미에 입각해 그 사름을 지각하는 능력.
social cognitive view 사회 인지적 관점: 언어 발달의 기제가 그렇듯이 언어습득이 일반적인 인지로부터 출발한다는 관점. 언어습득에 요구되는 경험이 다른 화자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다.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SCD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ASD)처럼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패턴이나 관심사를 보이지 않고, 지능이 평균 혹은 그 이상이며 언어평가에서도 별다른 문제를 보이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화용언어영역의 문제로 인해 사회성에 어려움을 보인다. 자폐성향은 있으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기준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며, DSM-5에 새롭게 추가된 진단명이다.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me(SCIP) 사회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 화용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사회 및 인지 영역에서의 발달을 지원하고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화용언어 중재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