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reinforcers 사회적 강화제: 미소, 칭찬, 관심 혹은 학생들이 좋아하거나 즐거워하는 친근한 표시. 일상 세계는 사회적 강화인자의 원리에 의해 작용되므로 가장 중요한 강화제이다.
social responsiveness scale 사회적 반응성 척도: 자연스런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한다. 자폐 스펙트럼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도록 고안되었다. 선별을 위해, 진단에 도움이 되도록, 또는 중재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social self 사회적 자아: 외적 자아의 일종.
social self-efficacy 사회적 자기-효능감: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사회생활 속에서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성장하며, 이것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다.
social skill 사회적 기술: 사람이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동을 하고 그러한 행동이 타인들에게 바라던 영향을 미치게 되는 기술들로 대인관계 기술, 사회적 책임감, 자존감, 파괴성, 순진성(즉, 경계심), 규칙 따르기/법 준수, 희생당하는 것을 피함,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을 포함하는 적응기술 등이 해당된다.
social skill training 사회기술 훈련: 지역사회 생활에 필수적인 생활기술을 습득시킴으로써 독립적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위한 실제적 역량을 강화한다.
social smile 사회적 미소: 1. 아기가 생후 3~5주가 지나면 주위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짓게 되는 미소. 생후 10개월이 지나면 낯선 사람에게도 사회적 미소를 보이기도 한다. 생후 2~3개월이 지나도록 사회적 미소가 보이지 않으면 발달 지체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2. 원활한 사회적 관계를 위해 짓는 인위적 미소. 사회적 미소의 여부는 눈주름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자연스러운 미소는 입주위 근육이 움직이면서 함께 눈주위 근육들이 수축하기 때문에 눈 주위에 주름이 잡히지만, 인위적인 미소는 눈주위 근육을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social speech 사회적인 말: 다른 사람에 대한 명백한 언급을 포함하는 말, 다른 사람의 질문에 대답하는 말, 말과 동시에 또는 말의 바로 앞이나 뒤에 다른 사람을 응시함으로써 동반되는 말 등을 의미한다.
social story intervention 상황이야기 중재, 사회적 이야기 중재: 일상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간단한 기술을 통하여 아동들이 일상적 경험에서 끄집어 내지 못하는 사회적 행동에 대한 핵심정보를 가르치는데 사용된다. 중재자가 중요한 사회적 행동을 확인하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반응과 사회적 단서들을 설명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간단한 상징이나 삽화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사회적 행동이 어려운 장애 아동들에게 적용되어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