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economic status 사회경제적 지위: 어떤 사람이 사회 안에서 갖는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를 합친 용어이다. 주로 수입, 재산, 직업, 생활양식, 지역사회 활동, 정치적 참여, 타인의 평가 등을 사용한다. 의사소통 분야에서는 이러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언어발달 및 기타 여러 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 스탠포드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Carstensen이 제기한 것으로 미래 시간 전망(future time perspective)에 따라 사람들은 추구하려는 삶의 목표를 능동적으로 재조정한다는 이론. 미래에 주어진 시간이 많다고 느낄수록, 정서적 목표보다는 사회적 목표를 상대적으로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미래에 주어진 시간이 적다고 느낄수록, 사회적 목표보다는 정서적 목표를 더 우선시 하는 양상에서 비롯됨.
sociolect 사회방언: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육 배경이 나타날 수도 있는 개인의 구어 패턴 특징.
sociolinguistic knowledge 사회언어학적 지식: 언어 사용이 화자의 지위, 성별, 상황 등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지식.
sociolinguistic sensitivity 사회언어적 민감성: 의사소통 형태의 수정이 특정 상황 및 청취자와 관련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민감성을 말한다.
sociolinguistics 사회언어학: 1. 언어학습과 사용에 미치는 사회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로, 특히 문화적이고 상황적인 변인들인 방언, 이중언어, 부모-아이 상호작용 같은 것을 다룬다. 언어 사용이 지위, 문화, 성별과 같은 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 어떤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기능에 대한 연구를 할 때 사회학과 언어학의 개념을 사용하는 학문분야. 2. 언어 학습과 사용에 미치는 사회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이러한 연구는 특히, 방언, 이중언어, 부모-자식 간의 상호작용 등과 같은 변인들을 포함한다. 3. 한 나라 내에 있는 각기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악센트와 방언을 연구하는 언어학 분야. 이 학문은 또한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상이한 다양성과 여러 인종들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 내에서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역할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sociopragmatic cue 사회화용적 단서: 아동은 새로운 단어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통해 그 단어 의미에 대한 단서를 찾는다. 예를 들면, 아동은 화자가 응시하는 것을 화자가 지시하려고 하는 것에 대한 단서라고 생각한다.
sodium valproate 밸프로에이트 나트륨: 간질치료용 약물.
soft articulatory contact 부드러운 조음 접촉: 조음기관의 부드럽고 편안한 접촉을 통하여 긴장된 비유창한 형태를 유창한 발화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