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 voice syndrome 약한 소리 증후군: 과다비성을 나타내는 대상자의 보상행동 중 하나. 비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약한 강도의 소리가 비성의 소리보다 사회적으로 더 받아들여지기 쉽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음성 강도를 줄여서 말한다. 이 중후군은 종종 음도의 변화가 매우 적은, 단조로운 음성을 동반한다.
soft whisper 부드러운 속삭임: whisper 참조.
software 소프트웨어: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자(operator)가 기계 코드 내에 있는 프로그램을 모으거나 프로그램의 결함을 찾아 수정하거나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하는 것 등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출판된 프로그램도 여기에 속한다.
solitary play 혼자놀이: 혼자 놀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누군가 와서 옆에 앉거나 다가가면 물러나거나 그 자리를 떠나는 것. stages of play 참조.
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SFBT) 해결중심단기치료: 어린 아동의 말더듬 치료에서 말더듬에 집중하기보다 각 개인이 미래에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에 초점을 맞추는 상담법. 해결중심 요법의 핵심은 질문이며, 언어재활사의 역할은 부모와 자녀에게 이미 존재하는 지식, 자원, 강점, 능력을 질문을 통해 끌어냄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미래를 향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somatic nervous system 체성신경계: 말초신경계의 한 갈래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구분, 운동신경은 중추에서 말단으로 전달하여 운동을 수행하며 감각신경은 자극을 중추로 전달하며 감각을 일으킴. 신체의 감각 및 수의적인 운동에 관여하는 12쌍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신경이다.
somatic symptom disorder 신체증상장애: 한 개 이상의 신체적 증상을 고통스럽게 호소하거나 그로 인해 일상생활이 현저하게 방해받는 경우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지만 한 가지의 심각한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육수준이 낮으며 도시보다는 시골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somatosensory 체감각: 피부나 근육 등에서 감지하는 촉각, 위치감각, 온도감각, 압각, 통각 등이며, 이 중 촉각이나 위치감각은 조음을 할 때 조음기가 어디에 닿는지, 어디에 위치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감각이다. 이 체감각은 일차 체감각 영역인 두정엽의 중심 뒤 이랑과 중심 곁소엽에서 가장 먼저 받아들여진다.
somatosensory association cortex 체감각연합피질: 다양한 감각을 처리하며 촉각과 고유수용정보를 통합하고 다른 물체의 촉각과 기억을 담당함. 대뇌 피질 중에서 중심구 바로 후측에 위치한 일차 체감각 피질을 제외한 나머지 신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