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perception 공간 지각: 공간상에서 깊이와 크기를 인식하는 것으로 인지상에서 크기-거리 척도화 기제를 통한 공간지각.
spatial perspective-taking 공간조망수용: perceptual perspective-taking 참조.
spatial prompts 공간적 촉진: 아동의 행동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물을 특정 위치(예: 과제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장소, 아동에게 더 가까운 장소)에 놓는 방법.
spatial tier 공간적 층위: 의미 역할은 한 번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위에서 주어질 수 있다. 어떤 술어이든 공간적 의미 역할을 할당하는 층위를 공간적 층위라고 한다.
spatial-relation perception 공간관계 지각: 공간관계지각은 두 개 이상의 사물의 상호 위치 관계를 지각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공간 위치의 지각능력에서부터 발달한다. 일반적으로 이 능력은 5세에서 6세 사이에 급속히 발달하는 데 지체부자유인 중 뇌성마비는 이 능력이 매우 열등하다. 공간관계지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스티그의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도하면 어느 정도 향상된다.
speak more fluently 좀 더 유창하게 말하기: 말더듬 치료에 적용되는 하나의 기법. 저변에 깔려 있는 심리적 원인에 대해서는 관심을 전혀 두지 않는다. 이 기법은 말더듬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과 말더듬인이 완전하게 유창해지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이론을 이용하는 언어치료사는 완전한 유창성에 치료의 목표를 둔다. 이 경우 환자가 어느 정도의 받아들여질 수 있을 정도의 구어를 산출한다면, 그 치료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 몬테레이 유창성 프로그램(Monterey Fluency Programme)은 이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구어를 연장하여 발화하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
speaker-as-own-listener 청자로서의 화자: 자신의 언어행동에 대한 청자로서 반응할 수 있는 언어발달단계.
speaker-oriented approaches 화자 중심 접근법: 속도, 리듬, 억양, 강세 등 문법적 정보뿐만 아니라 말 산출 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측면과 조음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speaking 말하기: 음성언어, 즉 말로 자기의 의사를 다른 어떤 대상에게 전달하여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러한 말하기는 의사소통의 기본적 수단으로서 생활 속의 말하기, 설명을 위한 말하기, 설득을 위한 말하기, 정서 표현을 위한 말하기 등으로 말하기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달리 사용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