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noise 회화 소음: 회화 주파수대(500-2000Hz)내에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소음. 종종 차폐용으로 이용된다.
speech output lexicon 구어출력 어휘목록.
speech pathologist 언어치료사(言語治療師), 언어재활사, 언어치료교사, 언어치료교육사, 언어임상가, 언어병리사: 언어장애 전반에 걸쳐서 진단하고 언어장애를 극복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적응하도록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 및 훈련을 하는 치료사 혹은 교사로서, 언어치료 분야의 학위 및/혹은 자격증을 가진 전문가. 1980년대 말까지만 해도 미국에서 자격있는 언어치료사의 약 75%가 초등학교에서 언어치료 교사로서 일하였다. 그러나 1년에 300개 이상의 대학에서 약 5000명 이상의 언어치료사들이 배출되고 있어서, 교사로서의 자리가 포화됨에 따라, 학교보다는 병원, 자치단체의 기관, 사설기관 등에서 일하는 수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금은 사설 개업을 하는 비율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언어치료 교사가 학교 시스템에서 일할 수 있는 길이 없으며, 특수학교에서 치료교사라는 명칭으로 언어치료를 전공한 교사가 교사로서 일할 수 있었으나 지금도 치료교사 제도가 없어지고, 특수교육 지원센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미국의 경우와는 반대 현상으로, 먼저 장애인복지관, 재활원, 병원, 사설기관 등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일하는 수가 많은 상황이나, 복지국가가 실현됨으로서 모든 초등학교에 언어치료 교사가 배치되어 공교육에서 언어장애 아동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전문가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에서는 1991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격증을 수여하는 제도를 실시하면서 언어치료사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1년부터 언어치료교육사(약칭 언어치료사)로 바꾸어서, 교육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 분야의 전문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speech pathologist, speech-language pathologist, speech-language-voice pathologist, speech-language-voice-aphasia pathologist 등으로 그 전문가가 하는 모든 일들을 명칭 속에 포함시키려는 시도도 있으나, 직업의 명칭 속에 그 하는 일을 다 넣게 되면 무한대로 길어지게 되는 일이 벌어지게 될 것이라는 비평이 있다. 미국 내에서 communicologist(의사소통치료사)로 쓰는 빈도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언어치료학을 logopaedics(언어교정학), 그 전문가를 logopedist(언어교정사), therapist 혹은 phoniatrist라는 용어로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어재활사, 언어치료사(言語治療師), 언어치료교사, 언어치료교육사, 언어임상가, 언어병리사, 말-언어치료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언어라는 말속에는 speech와 language가 포함되어 사용되므로 그저 언어치료사(언어치료교사 혹은 언어치료교육사의 약칭)라고 하여도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Syn: communicologist; language clinician, pathologist, or therapist; logopedist; phoniatrist; speech and language clinician; speech correctionist, pathologist, or therapist; voice clinician, pathologist, or therapist. speech pathology 참조. <참고> 1980년대 이전에는 언어치료사를 言語治療士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본어의 영향으로 현재 일본에서는 “士”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분야의 전문가를 “士”로 사용하고 있다. “士”는 나를 대신하여 말하여 주는 사람을 뜻하여, 辯護士, 烈士, 稅務士 등의 사람이나 직업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치료사는 언어장애인을 대신하여 말하여 주는 사람이 아니라, 직접 언어장애인 본인이 입으로 말하도록 가르치는 선생님이니 “師”를 쓰는 것이 마땅하다.
speech pathology 언어치료학, 언어병리학: 미국과 캐나다에서 언어치료를 연구하는 학문분야를 나타내는 용어. 영국과 유럽에서는 logopedics 또는 speech correction이라고도 한다. 미국에서 1920년대 아이오와 대학교 대학원에서 처음으로 대학교육으로서의 언어치료학이 시작되었다. 언어치료학은 의학, 심리학, 언어학, 특수교육학 등에서 이루어진 주요한 학문적 업적이 기초가 되어서 여러 분야의 응용분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언어치료"라는 용어는 1950년대까지 미국에서 언어교정(speech correction), 1970년대까지는 언어치료(speech therapy), 1980년대 이후에는 언어병리(speech pathology)라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언어교정이란 무언가 있는 가운데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 혹은 교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서, 실제 언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있게 하는 경우에는 "교정"(correction)이란 용어로는 부족하다는 논리에서 "치료"(therapy)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용어는 의사들의 보조자라는 인상을 주여, 원인의 진단과 치료 등의 원인학적인 측면 보다 전문가적인 인상을 주는 "병리"(pathology)란 용어를 병원에서 근무하는 언어치료사들을 중심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pathology"라고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미국언어청각협회에서도 공식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병리"라는 말은 원인을 검사하는 측면에 강조를 두는 인상을 줄뿐만 아니라, 병원 계통에서는 병리를 담당하는 "병리사"는 치료를 하지 않은 의사들의 보조자로서 치료사보다도 더 하위 단계의 역할을 하고 있어서, 외국에서는 전문가적 위상을 높이려는 뜻으로 사용된 용어가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전문가의 위상이 낮아지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영어로는 pathology라는 용어를 쓰더라도, 한국어로 번역할 때에는 치료라는 말로 번역하여 원인의 진단보다는 치료하는 역할 부분을 더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언어치료 분야에서 사용하는 "치료"라는 용어는 "변화" 즉 "좋지 못한 것에서 보다 좋은 쪽으로 이루어진 변화"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치료라는 용어조차도 의료행위를 하는 사람으로 오인하게 하는 소인이 있어서 마치 언어치료 분야가 의료 분야인 것으로 오해를 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을 없애고 교육적인 행위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미국에서도 pathology나 therapy라는 용어보다는 remediation 혹은 intervention, communicology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많아지고 있다. 영국에서는 아직 학회의 공식 명칭으로 College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영국언어치료사회)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speech therapy 참조.
speech perception 구어 지각, 말 지각: 언어적인 신호로부터 음향음성학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이러한 정보를 인지적인 표상에 그려내는 과정을 이르는 것이다. 크게는 음향적 단서로부터 언어의 자음과 모음인 음소들을 판별하는 것과 하나의 단어로 결합할 때 사용되는 음소의 인지를 포함한다.
speech perception test 구어지각 검사: 단어나 문장을 들려주고 이를 정확히 듣고 이해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
speech process 어음처리, 음성처리: 말소리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으로 음성 인식과 음성 합성의 두 분야로 나누어진다. 음성을 입출력의 수단으로서 쓰기 위한 처리로, 예를 들면 음성 파형의 디지털화, 음성 인식에 의한 문자에의 부호화, 문자 표기에서 음성을 합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speech processing chain 구어 처리 연쇄: 뇌에 내재되어있는 기호상징체계(언어)를 따라 자신이 전할 말을 계획하는 언어적 단계, 뇌 속에서 계획된 언어를 호흡, 발성, 조음 등과 같은 신체 활동을 통해서 말소리를 생성하는 생리적 단계, 생성된 말소리는 공기 중에 음파의 형태로 존재하는 음향적 단계, 화자에 의하여 생성된 말소리는 청자의 청각 장치를 작동시켜 뇌에 전달되는 생리적 단계, 청자 또한 뇌 속에 내재되어있는 언어체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화자의 말을 이해하게 되는 언어학적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 speech mechanism 참조.
speech processing task 구어처리과제: 검사 대상자들에게 모두 친숙한 언어적 단위(고빈도 어휘)를 사용하거나 모두에게 낯선 항목(검사하는 언어에 존재하지 않는 무의미 어휘)을 사용함으로써 선행지식이나 경험의 역할에 덜 의존하는 과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