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말소리 처리기, 어음 처리기

speech processor

speech processor 말소리 처리기, 어음 처리기: 인공와우 수술 후 사용하는 외부기기의 일종. 외부 기기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내부 기기는 피부 내에 삽입하는 기기이다. 인공와우는 청신경에 전기자극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손상되거나 상실된 와우 내 유모세포의 기능을 대행하는 전기적 장치이다. 인공와우 수술 후 소리를 듣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인공와우의 마이크로폰이 주위 소리를 감지하여 어음 처리기로 보낸다. 이를 언어합성기에서는 소리를 부호화한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는 다시 어음 처리기에서 전송코일로 보내진다. 전송코일은 이 신호를 FM 신호로 피부 안의 와우이식체로 보낸다. 인공와우이식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와우에 있는 전극으로 전달하고, 와우 안의 청신경을 자극하여 대뇌로 전달된다.

구어산출

speech production

speech production 구어산출: 구어 메커니즘에서 화자에 해당되는 말이다. 화자가 말을 하고자 할 때, 화자가 하고자 하는 말을 뇌에서 조직하여 적당한 조음, 호흡, 발성, 공명 등을 위해 근육들을 움직여 "말"이라는 의사소통수단을 이용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개념 형성 단계, 부호화·언어화 단계, 말 운동 계획·프로그래밍 단계, 말(운동) 집행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어산출 메커니즘

speech production mechanism

speech production mechanism 구어산출 메커니즘: 사람의 호흡, 발성, 공명 및 조음 근육들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유창한 구어가 산출되는 것. 

말소리 산출 지각 과제

speech production perception task

speech production perception task 말소리 산출 지각 과제: 아동이 자신의 조음 오류를 지각하는지를 진단하기 위해 고안된 지각 측정 수단이며 고정된 자극이 아니라 아동의 오류 산출에 기초한 자극을 산출한다. 

구어 능숙도

speech proficiency

speech proficiency 구어 능숙도: 상호작용의 맥락밖에 있는 언어의 표면적 특징을 반영하거나 조작하는 차원의 능숙도.

말 프로그래밍

speech programming

speech programming 말 프로그래밍: 말을 구사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조음기나 말 근육을 언제, 어떻게 그리고 어느 위치에 놓을 것인지를 정하고, 또한 말의 기본단위를 일련의 말 운동으로 적절하게 순차화하는 것이다. 

말속도, 구어 속도

speech rate

speech rate 말속도, 구어 속도: 단위 시간당 산출된 말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며, 초당 음절 수나 분당 낱말 수로 표현.

구어반응시간, 말 반응시간

speech reaction time

speech reaction time 구어반응시간, 말 반응시간: 자극 제시 후 대상자가 구어적 반응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독화, 독순

speech reading

speech reading 독화, 독순: 청각장애인이 말을 이해하는데 사용하는 기술로 얼굴 표정, 몸짓, 상황, 문맥으로부터 얻는 정보를 결합하여 화자의 입술을 관찰함으로써 구어 메시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며, 말의 시각적인 수용이다. 독화를 할 때에는 조음운동 시 나타나는 음소의 구형뿐만 아니라 화용적 맥락, 독화 과제와 유관한 안면표정, 손짓, 몸짓, 상황 등과 같은 비언어적 단서도 활용하며, 음성단서도 사용하게 된다. 상대방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다. 입술과 안면의 움직임과 일반적인 몸짓을 보고 구어를 이해하고 해석한다. Syn: lip-reading. aural rehabilitation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