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ication task 판단하기 과제: 언어와 점화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는 과제로, 일련의 철자열을 제시하고 그 철자열이 단어인지, 단어가 아닌지를 아주 빨리 판단하게 하는 과제. 두 개 이상의 자극이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 관찰하고자 하는 자극을 표적자극(target)이라 하며 표적자극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을 점화자극(prime)이라고 한다. 보통 순차적으로 자극이 제시되는 경우 선행하는 자극이 점화자극이 된다. 점화효과(priming effect)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지식의 개념들 간의 연결망(network)의 관계에 의해 유발되는 상대적인 효과를 말한다.
vermilion 홍순: 입술의 분홍색 혹은 갈색을 띤 부분.
vermilion border 주홍색 경계: 양입술의 붉은 색 바깥 부분.
vermis 충부: 소뇌반구를 양쪽으로 나누는 깊은 고랑. 소뇌의 부위: 소뇌의 상면(上面)에서 잘룩한 좁은 언덕이 충부이다.
vernacular 자국어, 고유 언어: 캐주얼하고, 비공식적이고, 친근한 언어의 사용역 또는 스타일. 1. 어떤 지역 또는 국가의 언어 또는 방언으로, 표준어일 수도 있고 표준어가 아닐 수도 있다. 2. 특정한 전문가에게 적용할 때 표현의 양식.
vernacular 자국어, 고유 언어: 캐주얼하고, 비공식적이고, 친근한 언어의 사용역 또는 스타일. 1. 어떤 지역 또는 국가의 언어 또는 방언으로, 표준어일 수도 있고 표준어가 아닐 수도 있다. 2. 특정한 전문가에게 적용할 때 표현의 양식.
Vernet's syndrome 버넷 증후군: 종종 상해의 결과로 측두골과 후두골 사이를 통과하는 설인신경, 미주신경, 척수신경(9, 10, 11 뇌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인두, 연구개, 구협, 후두 및 혀의 후 1/3 부위의 감각소실과 함께 상후두 수축근, 연구개, 구협, 성대 및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마비 등이 나타난다.
version 버전: 어떤 시스템을 수정하거나 변경하여 완성한 시스템. 예를 들면, 개정 시에 번호를 붙여 변경 수정 때마다 그 번호를 늘린다. 따라서 개정 1을 갱신한 시스템은 개정 2나 개정 1.5로 한다.
vertebral column 척주: 척추동물의 체간의 중축을 이루는 골주(骨主)로 척추골이 종렬되어 구성되어 있다. 척주의 주된 기능은 척수를 보호하는 것이며, 몸을 꼿꼿하게 하고 흉대와 요대, 여러 가지 근육들이 붙는 공간을 제공한다. 사람의 척주는 걷거나 서 있을 때 체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