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ight 무게: 어떤 물체가 중력에 의해서 지구 중심 쪽으로 당겨지는 힘.
weight bearing 체중 지지: 정적으로 체중을 부하한다는 의미. 다리에 체중을 부하할 때사용된다.
weight loss 체중 감소: 일부러 체중감량을 하지 않았는데도 6개월 이내에 체중의 5~10%이상 감소하거나 한 달에 2kg 이상의 속도로 감소하는 경우.
weighted SLD(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가중치: 정상적으로 유창한 화자와말더듬 화자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단계에 따라 정리된다. ①100음절당단어부분반복과 단음절단어반복의 합(PW+SS). ②100음절당 비운율적 발성(disrhythmicphonation, DP)(막힘과 연장)의 2배를 더한다. ③평균 단위반복(repetition unit, RU)수(단위반복은 단어를 말하기 전 반복되는 소리, 음절, 또는 단어의 횟수로 반복이 나타난 단어의 수로 나눈다. [(PW+SS)×RU]+(2×DP)² 결과를 나타내는 공식이다.
Weiss Comprehensive Articulation Test 와이스 종합 조음검사: 조음 장애나 지체가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고, 존재하는 오조음의 패턴을 확인하고, 있을 수도 있는 다른장애나 특징들을 확인하도록 고안되었다. 구어 명료도 및 자극력에 대한 측정결과는 피검자의 현재 조음 수준을 확립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Weiss Intelligibility Test 와이스 지능검사: 테이프에 녹음되어있는 독립된 단어 및 문맥적 구어 샘플이 백분율로 나타낸 명료도 점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데, 이 퍼센트는의사소통 장애의 심한 정도를 나타내게 된다.
welfare 복지: 삶의 질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을 높이고, 전체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국가에서 하는 복지 제도를 사회보장 제도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사회보장 제도에는 건강보험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등이 있다. 언어치료 분야에서는 대표적으로 발달재활 서비스 바우처가 있다. 이는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 운동 등의 기능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한 재활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복지 제도이다.
well formedness condition 적형조건: 각 모음은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성조와 연결되어야 한다. 각 성조는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모음과 연결되어야 한다. 어떤 연결선도교차할 수 없다. 자립 분절 음운론의 핵심이 되는 이 규약은 도출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든 조건이 적절하면 연결선을 덧붙이거나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ell-being 웰빙: 육체적·정신적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여 조화롭고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생활 방식. 순우리말로는 ‘참살이’라고 한다. 경제적 풍요와 사회적 성공을 강조하던 1980년대와는 달리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신적 풍요와 행복, 자기만족이 삶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이러한 웰빙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