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베르니케 실어증

Wernicke's aphasia

Wernicke's aphasia 베르니케 실어증, 워니키 실어증, 유창성 실어증, 감각 실어증, 수용 실어증, 후 실어증, 지각성 실어증: 1879년에 Wernicke가 최초로 설명한 실어증의한 유형이며, 보스턴 학파에서 확인한 주요 실어증의 유형중 하나이다. 이 실어증은Wernicke 영역 즉, 좌반구나 우세한 대뇌반구의 측두엽의 후위영역의 장애에 기인한다.주로 수용실어증으로 손상된 청각 이해력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나타낸다. 둘러말하기나 자곤 구어를 동반한다. 단어찾기 문제 및 신어증(neologism)과 어의적(부적절한 단어의 선택)이나 음소적인(생략, 부가, 대치, 잘못된 음의 연속) 착어증을 나타내게 된다. 제시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장애는 보다 더 뚜렷하게나타나고, 그 장애가 심할 경우 단단어 수준의 이해력이 나쁠 수도 있다. 이들 환자들은 구어 이해력은 심하게 손상된다. 읽기와 쓰기 모두가 영향을 받는다. 언어의 이해력에 장애가 있어서 반복하기가 곤란하며, 구어는 유창하고 문법과 운율에 손상이 없다.이러한 유형의 실어증을 Luria는 음향 건망증이라 한다. Eisenson은 이것을 자곤 실어증으로 기술하였다. auditory aphasia 참조, jargon aphasia 참조, pragmatic aphasia참조, receptive aphasia 참조, sensory aphasia 참조.

워니끼 영역

Wernicke's area

Wernicke's area 베르니케 영역 또는 부위, 워니끼 영역: 언어 이해에 관여되어 있는좌반구의 중추영역으로 확인된 대뇌의 측두엽의 상위 회(superior convolution)에 있는부위. 뇌의 언어 처리 영역으로, 좌반구 측두엽에 위치한다. 밖으로 나오는 메시지의기저 구조를 구조화하고 입력되는 언어 정보를 분석하는 일을 맡는다. 말소리의 이해와생성 모두와 관련 있다는 측두엽의 중앙부. 이 영역에 손상을 지닌 사람들은 단어들을들을 수는 있지만, 그것들의 의미는 알지 못한다. Brodmann's areas 22, 39, 40에 해당됨.

베르니케 영역 또는 부위

Wernicke's area

Wernicke's area 베르니케 영역 또는 부위, 워니끼 영역: 언어 이해에 관여되어 있는좌반구의 중추영역으로 확인된 대뇌의 측두엽의 상위 회(superior convolution)에 있는부위. 뇌의 언어 처리 영역으로, 좌반구 측두엽에 위치한다. 밖으로 나오는 메시지의기저 구조를 구조화하고 입력되는 언어 정보를 분석하는 일을 맡는다. 말소리의 이해와생성 모두와 관련 있다는 측두엽의 중앙부. 이 영역에 손상을 지닌 사람들은 단어들을들을 수는 있지만, 그것들의 의미는 알지 못한다. Brodmann's areas 22, 39, 40에 해당됨.

베르니케 뇌질환

Wernicke's encephalopathy

Wernicke's encephalopathy 베르니케 뇌질환: 환자는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식별력을잃게 되고, 동작이 둔하게 되며, 두 눈의 이상과 운동실조증이 진전된다. 이 질환은 다른 음식물은 섭취하지 않고 알콜만 섭취하는 사람에게 발생한다. 만약 그러한 환자에게티아민을 주사하지 않는다면,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티아민 주입이 지연될 경우,환자가 회복될지는 모르나, 코르사코프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Wernicke-Korsakoff syndrome

Wernicke-Korsakoff syndrome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치매로 진행될 수 있는증후군. 대뇌에서 '티아민'(thiamine)이라는 비타민의 결핍으로 발생된다. 티아민의 결핍은 알콜중독, 기아, 영양실조 등으로 발생한다. 이 증후는 베르니케 뇌질환과 코르사코프 증후군의 두 단계를 거치게 된다.

웨스턴 실어증 검사

Western Aphasia Battery(WAB)

Western Aphasia Battery(WAB) 웨스턴 실어증 검사: 실어증을 검사하고, 치료의 예후및 목표를 세우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검사도구.

습한 목쉰 소리

wet hoarseness

wet hoarseness 습한 목쉰 소리, 애성: 종종 성문 프라이를 수반하는 공기가 없고 저음도로 구성된 음성.

애성

wet hoarseness

wet hoarseness 습한 목쉰 소리, 애성: 종종 성문 프라이를 수반하는 공기가 없고 저음도로 구성된 음성.

내용 의문문

wh question

wh question 의문사 의문문, 설명 의문문,내용 의문문: 일반적으로 when, what, where, who, which, how 등과 같은 의문사로 시작되며, wh–구성소에 의해 빠지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기대하는 질문으로서 이 빠진 부분이 초점이 된다. 이러한 유형의 의문문은 예/아니오 의문문과는 대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