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 of conventionality 관습성 원리: 모든 화자들이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단어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화용적 원리. 즉, 단어의미는 관습이다.
principle meaning 관습성 원리: principle of conventionality 참조.
conventional literacy 관습적 문해, 관습적 문해능력, 관습적 문식성: 형식, 내용, 사용 에 있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관습을 따라 읽고 쓰는 것으로,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가진 기능적인 수행수준
conventional writing 관습적 쓰기: 쓰기에는 글씨쓰기, 철자쓰기, 작문쓰기를 포함하며 개인의 의미구성 및 표현을 초등학교 3학년 기능수준 이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킨다
attention 주의집중, 주의, 관심: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복잡한 감각 정보의 어느 한 측 면을 선택하고 나머지 측면을 무시해, 선택한 측면에만 집중하는 과정. 상황과 관계없 는 내적 혹은 외적 자극에 산만해지지 않고 일정한 자극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주 의력에는 지속적 주의(substained attention),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교 적 주의(alternating attention), 배분적 주의(divided attention) 등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각기 다른 과제로 평가된다.
idiom 관용구, 관용어, 숙어, 관용어법, 민족고유의 언어: 발화 내에 있는 개별 형태소에서는 의미를 예측할 수 없는 발화. 예를 들면, kick the bucket('죽다'의 뜻). bury the hatchet("화해하다"의 뜻). a red herring('사람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다'의 뜻).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을 분석하여도 그 말의 의미를 알 수 없고, 둘 이상의 단어나 어절이 결합한 결과, 그 한 덩어리가 전체로서의 구성 요소인 개개 단어의 의미의 합침과는 다른 특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of speech 참조.
joint 관절, 접합: 두 개 이상의 뼈가 가동적으로 연접한 구조이다. 관절로써 연결되어 있는 골단부는 한쪽이 불룩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그것을 관절두라 하며, 다른 한쪽은과절와라 하여 오목한 형태로 된 것이 많다. 관절을 이루는 골단부의 표면은 관절연골이라 하는 초자연골로 덮여 있다. 관절을 연결하는 뼈와 뼈 사이에는 작은 강이 있고, 그 속에는 활액이 들어 있어 윤활유와 같은 구실을 한다. 관절운동의 성질, 운동의 가능 범위는 관절을 이루는 골단의 형태나 관절낭, 인대의 부착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다. 운동의 성질에는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상거, 하제, 회전, 회선 등이 있다.
ankylosis (뼈와 뼈의) 교착, (관절의) 강직, 강직증, 관절강직증: 질환으로 인해 관절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장애. 관절 구조의 융해로 인한 관절의 비정상적인 고정; 청각에서 이경화증(otosclerosis)을 일으키는 등골의 고정.
condyle 관절구: 턱뼈와 같은 뼈의 둥근 관절 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