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s(CROS) hearing aid 교대신호보청기: 손상된 귀 쪽에 서 발생되는 음을 손상된 귀 부근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으로 소리를 잡아서, 약간 증폭 한 후, 전기적으로 머리 반대편에 있는 정상적인 귀 부근에 부착된 수용기로 전달되어 지는 보청기. 전통적으로 머리 차폐 효과를 피하기 위해서 편측 청력손실의 경우에 이 용된다. 이 형태의 보청기는 'ski-slope'형의 급추형청력도를 나타낸 청력손실자에게 가장 적합하다. 이는 들어오는 저주파수대의 음을 잘라내고(cut-out) 고주파수대에서는 잘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신호는 한쪽에서 듣고 반대쪽으로 전하는 코드가 있다. 요즈 음에는 코드가 없는 CROS가 있어서, 한쪽에서 집음한 소리를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소 형 라디오가 작동한다. 이 라디오파는 머리를 지나 반대편에 있는 소형 라디오 수신기 에 의해 모아진다. 음파는 증폭되어지고 수신기와 외이도에 있는 개방된 전달관(open delivery tube)에 보내어 진다. hearing aid 참조
diadochokinetic rate 교대운동 반복속도: 구강운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 는 방법이다. 특정 시간 내에 음절을 반복하는 수로 측정될 수도 있고, 특정 반복횟수 를 정해놓고 이를 달성하는 시간으로 나누어 1회 음절 반복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 될 수도 있다. diadochokinesis 참조
alternating 교대하기: 유창성에서 비유창성까지 자기의 구어를 번갈아 하는 것.
alternate forms reliability coefficient 교대형 신뢰도 계수: 어떤 검사에서 교형, 동 일형, 또는 병렬형에서 나온 결과들 사이의 상관관계. 두 가지 형태가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것을 측정할 때 일관성을 보이는 범위를 측정하는 것. Syn: comparable forms reliability coefficients. reliability coefficient 참조.
commissural fibers 교련섬유: 교련섬유는 좌우의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백질 섬유다발이 다. 가장 대표적이고 커다란 교련섬유는 뇌량이다. 뇌량은 좌뇌와 우뇌를 서로 연결시 키는 교량역할을 하여 좌, 우뇌의 기능을 통합한다.
commissure 교련섬유, 접합부: 양쪽 반구체의 유사한 구조들을 연결하는 신경 섬유
commissural aphasia 교련성 실어증: 운동과 감각의 언어중추 간 연락로를 장애하는 병변에 의한 실어증. frontolenticular aphasia 참조
commissurotomy 교련절개술: 승모판협착증에 대해서 행하는 수술. 개구부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교련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거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것.
alternating current(AC) 교류 전류: 전류량이나 흐름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