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axia of speech 구어 실행증, 말 실행증: 수의적인 구강 운동을 수행하고 조음기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언어산출 프로그래밍의 장애이다. 말을 하는데 필요한 근육의 마 비 및 약화가 없지만 말을 하거나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내며, 말소리 산출의 하위 체계(호흡, 발성, 조음)와 연인두 운동의 적절한 협응의 문제로 연속적인 조음운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
verbal apraxia 구어 실행증, 말실행증: 마비 또는 근육의 불협응이나 약화가 없으면서도 말하는데 필요한 움직임을 시작하거나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증상. 뇌의 손상된 운동 계획성 때문에 일어나며, 말하고자 하는 뜻을 잘 알고 있으나 말소리를 정확하게 조음하는데 오류를 보인다. 오류를 인식하며 발화를 위해 반복적으로 시도해서 발화 흐름이 크게 방해받는다. 단음절보다는 다음절 단어를 더 어려워하며, 인사말과 같은 반자동 발화는 아주 유창할 수도 있다. 의도적이고 수의적인 구어에서 특히 문제를 보인다. 어떤 저자들은 구어 실행증(verbal apraxia)과 구강 실행증(oral apraxia)을 구별한다. 구어실행증은 구어 근육조직(musculature)의 마비없이, 구어를 위한 목적있는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이 없거나 어렵다. 아동들에게서 이것은 음운 및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강실행증은 구강구조를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에서의 어려움이다. 혀를 내밀도록 지시하면 잘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speech apraxia 구어 실행증: 대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운동프로그래밍 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 근육의 마비나 약화현상 없이 일련의 조음기관의 위치를 잡는 운동을 프로그래밍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조음에서 왜곡, 생략, 첨가, 반복보다 대치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모음보다 자음에, 고빈도 음소보다 저빈도 음소에, 단음절 단어보다 다음절 단어에 오류가 더 나타난다. 조음정확도는 실제 단어가 비단어보다 더 낫다. 조음 오류는 마비말장애 구어에 비해 비일관적이고, 같은 단어의 반복된 발화에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speech aspects 구어 양상: 일반적으로 구두 의사소통을 하는데 필요한 조음적, 청각적, 언어적, 발성적 구어의 특징.
speech distortion 구어 왜곡: 조음의 결함이나 왜곡. articulation disorder에서 distortion 참조.
speech motor function 구어 운동 기능: 구어 메커니즘의 운동과 관련하여 조음기능을 평가하는 것.
speech motoric time 구어 운동 시간: 피험자가 음성적으로 발화를 시작하여 발화를 종료하기까지 시간이다.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구어 운동 프로그래밍 능력: 새로운 단어를 듣고 그 단어를 산출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어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얼마나 되는가를 의미한다.
speech fluency 구어 유창성: 말의 산출적인 측면에서 유창성의 개념을 정의한 개념으로 연속성, 속도, 지속, 동시조음, 노력이라는 측면에서 정의하였다. 구어의 흐름이나 속도에 대한 일반적인 현상으로 어떤 노력이나 머뭇거림 없이 쉽고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