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rect treatment 간접 치료: 언어치료사가 제공하는 직접 중재 신에 교사, 부모, 의 료전문가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의사소통 치료 목표의 달성을 꾀하는 치료 형태를 말 한다.
indirect measure 간접 평가: 기류, 기압 산출된 음성 등으로 연인두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검사 절차. 구조물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는 없다. 비성치 측정검사나 공기역학적 검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indirect teaching 간접 학습: 어떤 과제를 수행하는 행동을 시·청각적으로 관찰하여 학습하는 것. 학생임상가가 언어치료 활동을 관찰하는 학습이 이에 해당한다.
indirect activation system 간접 활성경로: 추체외로의 다른 이름.
indirect laryngoscopy 간접 후두경 검사: 제일 먼저 실시하는 검사로 경구강으로 작은 거울을 삽입해 반사시켜서 간접적으로 후두를 보는 검사법이다. 이때 사용 하는 거울을 간접후두경(구개경)이라고 한다. 후두에 병리가 관찰되면, 직접 후두경 검사를 실시한 다. laryngoscopy 참조.
indirect speech act 간접적 화행: 수행하고자 하는 화행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다른 화행을 수행하는 표현을 발화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이다. 청 자에 한 태도를 표현하는 방식은 주로 간접 화행 현상과 관련된다.
tickle threshold 간지럼 한계치: 불쾌함의 한계치.
status epilepticus 간질지속상태, 경련중첩증: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지 않은 사이에 일련의 경련(fits). 이것은 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고 약으로 즉각 치료를 요한다. 원인으로는 갑자기 약물 regimen을 끊어 버린 사람이나 스스로 끊어버린 사람이나, 구조적인 대뇌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발작으로는 대발작, 소발작, 혹은 긴장성/간헐성 발작 혹은 간대성근경련의 형태로 일어난다. epilepsy 참조.
simplified nasometric assessment procedures(SNAP) 간편 비성치 측정 검사: 음소를 사용하여 비성치를 측정하는 방법. 3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검사 중 어느 하나만 사용되고 모두 사용해도 되지만 아동의 연령, 협조정도, 문해 능력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위검사 1은 음절(구강음 +‘아’, 구강음 +‘이’ 등)을 반복하거나 음을 연장, 하위검사 2는 그림단서, 하위검사 3은 문단을 이용하여 샘플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