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ory ataxia 감각 운동실조증: 일반적인 근운동에는 근신장반사에 의한 제어가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근으로부터 구심성 임펄스가 근의 고유감각계에 의한 제어가 없어지면 원활한 동작은 불가능하게 되고 협응운동의 장애, 운동실조가 생겨난다. 증상으로서 Romberg's 징후에 있어서의 실조성 운동장애 즉, 서 있는 자세에서 양 발을 가지런히 붙이게 하면 하지나 체간이 흔들리고 다시 눈을 감으면 동요는 심해져서 넘어진다. 보행장애(환자는 하지를 앞으로 내던지듯이 하고 발뒤꿈치가 강하게 마루를 두드리고 발가락 부분이 마루에 부딪히는 double step이라고도 한다)와 시각으로 자신의 하지나 마루를 조심하고 있다. 사지운동장애 등을 볼 수 있다.
sensory awareness 감각 인식: 감각기관을 통해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통합한 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 상황을 판단하여 결정, 그리고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sensory stimulus 감각 자극: 여러 가지 감각체가 수용기에서 전기 충격을 일으키고 신경 충격에 의한 에너지가 신경섬유를 따라 이동하여 뇌에 도달하여 지각하는 과정.
sensory driven processes 감각 주도적 처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감각을 인식 과정으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각성과 주의로 이루어지는 처리 형식.
sensory conception 감각 지각화: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주의를 확장시켜 감각정보를 획득하는 것.
sensory scale 감각 척도: 관찰자의 경험과 매우 일정한 관련성이 있는 특정한 속성의 양(강도, 음도) 사이의 수적 관계. 그러한 척도의 개발에서 기본 방법은 세분화 판단이다. 예) 기타를 조율할 때, 한 음이 다른 음과 조화를 이룰 때까지 반음 높게 또는 반음 낮게 조율한다.
sensory integration 감각 통합: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균형, 중력위치, 운동 등의 감각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해석하고 조직하는 뇌의 능력. 감각통합에서 문제들은 학습문제, 과잉행동, 주의집중력, 협응결핍, 균형감각결핍, 행동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고, 학교, 가정, 직장, 놀이 등에서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다. 작업치료사이며 심리학자인 Ayres A. J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감각을 조직화하는 신경학적 과정을 말한다. 감각이란 신경세포를 자극하고 활성화하며 신경계통의 일련의 순서에 의해 일을 진행시키는 에너지이고, 통합이란 신체 여러 감각부분을 전체로 묶는 조직화의 한 단계이다. 그러므로 감각통합이란 적응반응을 얻기 위하여 감각자극을 통해 학습하면 뇌에서 모든 감각을 통합하여 지각을 형성하고, 활동하고, 학습하는데 활용하도록 하는 감각처리과정의 가장 중요한 형태이다. 감각통합의 장애는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며, 모든 것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학습부진 또는 행동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감각 통합 및 응용 검사: 중등도 학습, 행동 또는 발달 불규칙을 보이는 4~8세 아동의 촉각 처리, 전정고유수용 처리, 시각적 인지, 시각-운동 협응, 실행 능력 그리고 좌우 통합 및 배열 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17개의 하위 수행(비언어적) 검사로 구성된 도구이다.
sensory tricks 감각 트릭: 근 긴장 이상증 환자들이 불수의적인 근수축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보이는 특이한 행동. 예를 들면 아래턱에 나타나는 근긴장 이상증을 멈추기 위해 턱 끝을 만지거나 혀에 나타나는 근긴장 이상증을 억제하기 위해 입안에 사탕을 물고 있는 것이다.